유한양행, 1년새 기술수출 3조원 '잭팟' 비결은

유한양행 로고
유한양행 로고

유한양행이 다국적 제약사 베링거인겔하임과 1조원 규모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치료 후보물질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했다. 1년 새 기술이전만 4건을 성사시키며 총액 3조원에 달하는 '잭팟'을 터트렸다.

유한양행은 독일 제약사 베링거인겔하임과 비알코올성 지방간염(NASH) 치료 후보물질 기술수출 계약을 체결했다고 1일 공시했다. 총 계약규모는 8억7000만달러(약 1조53억원)다.

NASH는 간 지방축적과 염증을 일으키는 만성질환이다. 술을 전혀 마시지 않거나 적게 마셔도 간에 5% 이상 지방이 쌓여 간세포가 손상된다. 심한 경우 간 손상 또는 섬유화를 동반하는 말기 간질환, 간암 등으로 발전해 사망 위험이 높다.

이번 신약 후보 물질은 'GLP1'과 'FGF21'이라는 위장관 내장 호르몬에 모두 작용하는 이중작용제다. 지방간염을 일으키는 지방증, 염증, 섬유증을 모두 대상으로 해 질병을 치료한다. 장기 일부가 굳는 섬유화 반응을 방지해 간세포 손상과 간 염증을 줄인다.

이 후보물질은 유한양행이 자체 개발하고 바이오 기업 제넥신의 항체융합 단백질 플랫폼 기술 '하이브리드 FC'를 접목한 융합단백질이다. 플랫폼 기술을 통해 약물 반감기를 늘리고 약효 지속 투여 대비 효과 기간을 연장한다.

베링거인겔하임은 NASH 3가지 핵심 요인인 지방증, 염증·섬유증을 모두 표적화하는 포괄 프로그램을 구축한다. 중증 NASH 환자에서 완화 효과를 내기 위해 다수의 특징을 표적화할 수 있는 치료제 개발에 집중한다.

이번 계약에 따라 유한양행은 계약금으로 4000만달러를 수령한다. 개발 단계에 따라 기술료인 마일스톤 지급액 최대 8억3000만달러를 받는다. 계약금 규모로만 지난해 레이저티닙(약 1조4000억원)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금액이다. 순매출액에 따른 경상기술료도 수령할 예정이다.

이제 막 전임상 단계를 마쳤기 때문에 연내 임상 1상 진입이 목표다. 향후 양사는 임상 계획, 연구개발(R&D) 방향성 등을 논의해 공동연구를 가속화한다.

유한양행 기술수출이 1년 사이 눈에 띈다. 지난해 7월 미국 스파인바이오파마에 퇴행성 디스크질환 치료 후보물질 'YH14618'을 총 2400억원 규모로 기술수출한데 이어 같은 해 11월 얀센바이오텍에 비소세포폐암 치료 후보물질 'YH25448'을 총 1조4000억원 규모로 기술수출했다. 올해도 1월에 미국 길리어드에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후보물질을 8800억원 규모로 기술수출했다. 이번 기술수출까지 1년 새 총 3조원에 달하는 기술수출 계약을 이끌어 냈다.

현재 세계적으로 NASH 치료 방법은 없다. 최종 허가 문턱을 넘은 약이 없어 치료 방법이 제한적이지만 미충족 수요가 높은 만큼 성장잠재력은 높다고 평가된다.

유한양행 관계자는 “유한양행은 얀센, 길리어드, 베링거 등 기존 파트너십 있는 글로벌회사와 지속적인 협력을 통해 신약개발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면서 ”결과적으로 이번 기술이전 계약 체결이 미충족 수요가 높은 치료제 개발과 더불어 글로벌 제약사로 발돋움하는 발전적 의미를 갖는다“고 말했다.

성다교기자 dksung@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