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병국 국회 4차 산업특위 위원장
이동근기자 foto@etnews.com](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19/07/29/article_29090017776736.jpg)
정병국 바른미래당 의원은 “4차 산업혁명 시대 대한민국이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정책여건을 만드는 것이 국민·시대적 요구”라며 “혁신하려면 치열한 투쟁과 자기반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정 의원은 올 상반기 국회 4차산업혁명특별위원회 세 번째 위원장으로 활동했다. 4차산업혁명특위는 여야가 연장 여부를 결정하지 않아 최근 활동을 중단했다.
정 위원이 3기 위원장을 맡은 것은 3개월이었다. 짧은 기간이지만 정 의원은 현장의견 청취, 해외 선진제도 시찰, 정부정책 점검 및 대책수립 등 특위 활동에 힘을 쏟았다. 10개 기관 35개 분야에 '시행령 등 행정부 자체 개선과제 신속추진 결의안'을 제시했다. 소위원회에서 위원, 전문가, 부처 담당자 등이 도출한 32개 분야 '입법개선 추진 등 중장기 과제 권고'를 마련했다.
그는 “추격자형 모델로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서 살아남을 수 없고 선도자형 모델로 획기적 전환이 필요하다”며 “정부는 민간에서 할 수 없는 기초분야에 집중하고 기업할 수 있는 여건조성에 최선을 다해야 한다”고 말했다.
4차 산업혁명 등 외부에서 밀려오는 파고에 대한 정치권의 더딘 변화와 무관심을 안타까워했다. 정 의원은 “미래학자 엘빈 토플러는 '부의 미래'에서 '기업이 시속 100마일로 달린다면, 정치는 3마일, 법은 1마일로 달리고 있는 셈'이라고 했다”며 “현재 대한민국의 4차 산업혁명이 처한 상황을 정확하게 표현하는 말”이라고 설명했다.
![정병국 국회 4차 산업특위 위원장
이동근기자 foto@etnews.com](https://img.etnews.com/photonews/1907/1208100_20190726140620_124_0002.jpg)
그는 “특위에서 다룬 정책 제안을 제대로 운영하기 위해 3개월 연장을 요청했으나 정개특위·사개특위 외에는 받아들여지지 않았다”며 “예산 반영을 못해놓은 것이 아쉽다”고 토로했다.
정 의원은 “세계 각국은 4차 산업혁명이라는 시대적 흐름 속에서 명운을 건 분투 중임에도 우리 한국의 현실은 어떤가”라고 반문했다. 그는 “정치가 아날로그 시대에 머물러 대한민국의 미래를 발목 잡고 있다. 장외정치, 막말정치 등 구습과 악순환을 반복하며 악화가 양화를 구축하는 상황”이라고 비판했다.
정 의원은 “중앙 집권화로 1인에게 권력이 집중되는 패거리, 패권 정치를 끊어야 한다”면서 '블록체인 정당'을 대안으로 제시했다.
그는 “시스템을 구축해서 누구나 스마트폰을 이용해 의사 표현을 할 수 있고,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현장을 뛰는 노마드(Nomad) 정치를 할 수 있다”며 “국민에게 신뢰 받지 못하고 욕먹는 건 아날로그 식의 정치를 벗어나 트렌드를 따라가야 한다”고 말했다.
정 의원은 “블록체인 정당이 구현되면 당 대표 권한은 축소되고, 당론을 당원들에게 직접 물어 당의 모든 의사결정을 당원이 내린다”며 “공천으로 줄 서는 정치가 아닌 당원을 바라보고 국민을 바라보는 정치를 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송혜영기자 hybrid@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