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가 끊기면 그 나라 산업은 어떻게 될지 생각해봐야 합니다. 데이터주권 문제를 심각하게 받아들여 관련 대응책을 논의하고 공론화해야 합니다.”
박영선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이 지난 7월 취임 3개월을 맞아 열린 출입기자단 오찬 자리에서 발언한 내용이다. 인공지능(AI)산업 육성과 중요성을 강조하며 데이터주권론을 제기했다.
지난해 국내 클라우드 시장 규모는 1조5000억원으로, 올해는 1조9000억원 수준에 달할 것이란 전망이다. 정보통신산업진흥원은 보고서를 통해 국내 클라우드 서비스 시장 점유율이 아마존웹서비스(AWS)와 마이크로소프트(MS) 등 외국계 기업이 67%로 절대 우위를 차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박 장관의 데이터주권론 공론화도 이 같이 외국계 기업에 의존도가 높은 현 시장 상황에서 나온 우려다. 특히 앞으로 스마트공장에서 쏟아지는 막대한 데이터를 보관하고 활용하기 위한 대책 논의가 필요한 상황이다.
중기부는 2022년까지 스마트공장 3만개를 보급하겠다는 목표를 수립했다. 예정대로 진행된다면 정부가 보급한 스마트공장에서 막대한 데이터가 쏟아져 나올 전망이다. 이에 따라 중기부는 스마트공장에서 나오는 데이터를 모아둘 데이터센터를 구축할 계획이다.
전문가들은 데이터주권을 지키기 위해서는 AI 등 소프트웨어 인프라 구축도 함께 이뤄져야 한다고 조언한다. 데이터센터라는 큰 창고를 만들어 놓고도 이를 활용할 시스템을 외국계 기업에 의존한다면 데이터주권을 빼앗기는 결과는 똑같다는 설명이다. 모아진 데이터를 활용하고 비즈니스로 만들기 위한 계획과 전략을 함께 수립할 필요성이 있다.
김정호 KAIST 전기 및 전자공학부 교수는 “대기업은 스마트공장에서 나오는 데이터를 활용할 자체 솔루션을 가지려고 하겠지만 중소기업은 여건이 충분치 않을 것이고 외국계 기업이 이 빈틈을 차지한다면 시장을 빼앗기는 것”이라면서 “스마트공장에서 쏟아지는 데이터를 모아둘 창고를 만들면서 동시에 이를 활용할 AI, 소프트웨어 기술, 인력에 대한 투자를 함께 한다면 관련된 벤처 창업이 활성화되는 등 성과도 거둘 수 있다”고 말했다.
대전=양승민기자 sm104y@etnews.com
-
양승민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