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분석] 소재·부품·장비 선진화 가속…KIAT, 내년 전 주기 R&D 체계 구축

[이슈분석] 소재·부품·장비 선진화 가속…KIAT, 내년 전 주기 R&D 체계 구축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유레카 프로젝트 정부 투자 현황

# 일본 수출규제 조치 이후 소재·부품·장비(이하 소부장) 선진화가 우리 산업계 핵심 화두로 부상하면서 정부와 관계 기관 움직임이 빨라지고 있다. 연구개발(R&D) 지원을 통한 핵심 소부장 개발과 산업 생태계 조성 등이 주요 과제다. 산업기술 R&D를 지원하는 한국산업기술진흥원(KIAT)도 내년 소부장 R&D와 인프라 구축 사업을 확대한다. 소부장 산업을 위한 플랫폼·인력 양성 사업을 강화하고, 기술 개발이 양산 단계까지 이어지도록 소부장 기업을 위한 바우처 사업도 이어간다. 또 소부장 핵심 기술을 빠르게 확보하기 위해 금융과 세제 등 종합 지원 사업으로 소부장 전 주기 R&D 체계를 구축한다.

◇KIAT, 내년 플랫폼·인력 양성 사업 확대

KIAT는 내년 소부장 기술 개발에서 사업화까지 기술혁신 전 주기를 지원하는 R&D 지원 체계를 확대한다.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활용해 융·복합 소재·부품 빠른 상용화를 지원하고 관련 산업 전문인력 육성에도 속도를 낸다. 기술·제품 신뢰성을 높이기 위한 바우처 지원 사업을 이어간다.

KIAT는 내년 가상공학플랫폼 사업을 역대 최대 규모로 추진한다. 가상공학플랫폼 사업 내년 정부 예산안은 270억원으로 올해 109억원에 비해 두 배 이상 증액했다. 가상공학플랫폼 사업은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활용해 융·복합 소재·부품 상용화 기간·비용을 줄이는 것이 목적이다. 소재 선택에서 가상모델 제작, 공정설계, 시뮬레이션에 이르는 과정을 플랫폼에서 실현할 수 있다. KIAT는 금속·화학·섬유·세라믹·기계 등 5대 분야에 대한 가상공학 플랫폼 구축을 내년까지 완료할 계획이다.

석·박사급 산업 인력을 양성하는 '산업전문인력역량강화' 사업도 내년 확대 추진한다. 내년 정부 예산안은 약 885억원으로 올해 851억원보다 34억원 증액했다. KIAT는 올해 지능형반도체, 디스플레이, 고부가 금속소재 등 차세대 융복합 소부장 분야 전문인력 양성 지원을 늘린 바 있다. 기업이 이공계 연구 인력을 채용하면 인건비를 보조해주는 혜택도 확대했다. 연봉 50%를 최대 3년까지 지원한다. 소부장 분야는 별도 트랙을 구성해 집중 지원할 계획이다.

전국 공공연구소가 제공하는 신뢰성 향상, 실증 지원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신뢰성기반활용지원사업'도 내년에 이어간다. 신뢰성기반활용지원사업은 신뢰성향상과 소재개발을 필요로 하는 국내 소재·부품 기업에게 바우처를 먼저 지급하고 지원기관에서 현금처럼 서비스를 구매하도록 지원체계를 구축한다. 신뢰성기반활용지원사업을 활용한 기업은 2017년 192곳에서 지난해 288곳, 올해 381곳으로 확대됐다. 개발된 기술이 양산 문턱에서 주저 앉는 일이 없도록 개발과 양산 단계 사이 지원을 이어간 점이 특징이다.

KIAT 관계자는 “KIAT는 직접 자금 지원 사업도 있지만 바우처 형태 사업과 중소기업이 이용할 수 있는 플랫폼 등 인프라 구축 사업이 많다”며 “소재부품을 포함해 전문인력을 양성하고 중소기업 채용을 도와주고 전문연구원이나 공공연구소에서 파견해 기술력을 높여주는 기반사업도 시행하겠다”고 밝혔다.

◇'Buy R&D'로 빠른 핵심 기술 확보 지원…세제·금융 혜택 강화

KIAT는 세제 혜택이나 금융 지원을 통한 '외부기술 도입(Buy R&D)'으로 소부장 기업 지원도 이어간다. 세계 밸류체인(GVC) 변화에 신속 대응하기 위해 외부 기술을 도입해 핵심 기술을 짧은 시간 안에 확보할 수 있다. 특히 오랜 시간 공들여 연구개발해야 하는 소부장 기술을 단기간에 효율적으로 확보할 수 있도록 돕는다.

KIAT는 소부장 관련 기업 투자를 유도하기 위해 내년 현재 신성장동력·원천기술분야 세액공제 지원 대상을 소재·부품에서 장비까지 확대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올해 연말 조세특례제한법 시행령 개정이 이뤄지면 대·중견기업 최대 30%(코스닥상장 중견기업은 최대 40%), 중소기업 최대 40%까지 연구개발비에 대한 법인세를 공제받을 수 있다. 시설투자비에 대한 법인세 공제율은 대기업 5%, 중견기업 7%, 중소기업 10%가 각각 적용된다. 소재·부품뿐 아니라 장비까지 대상이 확대되면 혜택 대상 기업이 더 많아질 전망이다.

KIAT는 수요 대기업과 공급 기업 간 협력으로 애로 기술을 해소하고 핵심 소부장 국산화를 조기 달성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의 프로젝트를 내년 신규 사업으로 추진한다. 중소·중견기업이 기술을 개발하면 대기업이 수요기업으로 참여해 공동으로 기술을 개발하고 공통 평가하는 형식의 사업이다.

이밖에 소재·부품 분야 중견기업을 대상으로 정부출연연구기관과 파트너 매칭 작업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 공공연구기관이 보유한 기술을 소개하고 이에 관심 있는 중견기업과 연계해 국산화와 공동R&D 기회를 모색한다. 내년부터 기업이 기술협력 상담을 하는 '테크데이'도 정례화할 예정이다.

석영철 KIAT 원장은 “우리의 소부장 산업 생태계가 글로벌 가치사슬 변화에 흔들리지 않고 굳건하려면 '팀플레이' 중요성을 인식해야 한다”며 “산업계와 연구계, 수요 기업과 공급 기업 간 협력과 공생 문화가 정착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변상근기자 sgbyu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