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지자체가 새로운 4세대 원형 방사광가속기 구축 사업이 공식화되기 전부터 유치 경쟁에 열을 올리고 있다. 사진은 포항에 위치한 4세대 선형 방사광가속기 빔라인 모습.](https://img.etnews.com/photonews/1911/1237411_20191106151937_768_0001.jpg)
'4세대 원형 방사광가속기'를 유치하려는 지방자치단체 간 때 이른 경쟁이 시작됐다. 아직 정부 계획이 구체화되지 않은 시점인데도 지역 대학 및 정부출연연구기관(출연연)과 협력해 물밑작업을 벌이는 지자체가 속속 등장하고 있다.
가장 발빠른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곳은 충북도다. 충북도는 지난 7월 5억원을 투입해 방사광가속기 구축 사업을 위한 타당성 조사 연구용역을 시작했다. 내년 4월까지 연구용역을 마치고 정부에 사업 추진을 본격 건의할 계획이다.
전남도가 응전하고 나섰다. 최근 추가경정예산(추경)으로 3억원을 확보, 다음 달부터 타당성 조사 연구용역을 추진할 예정이다.
여기에 경기도와 인천시가 가세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관내 출연연 및 대학과 연계해 컨소시엄 형태로 차세대 방사광가속기 구축 사업을 추진할 것이라는 소문이 무성하다.
이들 지자체는 관내 연구소와 대학을 싱크탱크로 삼아 당위성을 강조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우선 충북도는 대형 연구시설장비에 특화된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KBSI)과 협력하기로 했다. 충북도에서 실시하는 연구용역 위탁수행기관으로 참여했다.
전남도는 전국 주요 대학 및 출연연 소속 전문가 36명이 참여하는 자문단을 구성한 데 이어 오는 2022년 개교 예정인 한전공대와 연합전선을 편다는 복안을 세우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방사광가속기는 자외선부터 고에너지 엑스선까지 다양한 빛을 만들어 내는 거대 시설이다. 기초 연구에 중점을 둔 다른 가속기와 달리 응용 분야에 활용도가 높아 지역 산업 육성에 큰 도움이 된다. 빔과 물질 사이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상호작용을 활용, 소재 및 바이오 분야에 두루 활용할 수 있다.
그러나 정부는 뚜렷한 계획도 없는 상황에서 때 이르게 과열 경쟁이 벌어질 수도 있어 난처하다는 입장이다. 익명을 요구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관계자는 “울산시와 부산시가 공동 유치한 원전해체연구소처럼 지자체가 서로 싸우는 모습을 보일까 걱정”이라면서 “아직은 가속기 필요성을 따지는 단계이고, 향후 거쳐야 할 과정이 적지 않아 곤혹스러운 상황”이라고 말했다.
대전=김영준기자 kyj85@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