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아세안 30주년]문 대통령, '정상외교' 시동...싱가포르·브루나이와 ICT·스마트시트 등 협력

문재인 대통령이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계기 브루나이·싱가포르와 잇따라 정상회담을 갖고 아세안과의 '정상 외교'에 들어갔다. 정보통신기술(ICT), 스마트시티, 전자정부 등 첨단 산업분야 협력 지평 확대를 놓고 집중 논의했다.

문 대통령은 24일 청와대에서 하싸날 볼키아 브루나이 국왕과 정상회담을 하고 에너지와 스마트시티 사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양국 간 협력 확대를 약속했다. 두 정상은 한반도 정세, 국제무대 협력 등에서도 의견을 교환했다.

문 대통령은 “브루나이의 '비전 2035'와 우리의 신남방정책이 조화롭게 추진된다면 미래 신산업 분야까지 협력의 지평을 넓히고 공동 번영을 이룰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앞으로 양국이 협력할 분야는 더욱 많다”며 “ICT, 스마트시티, 전자정부 등 첨단산업과 국방, 방산 분야에 이르기까지 양국 간 협력 잠재력은 무궁무진하다”고 기대했다.

볼키아 국왕도 “역내에서 대한민국은 아세안에 대단히 중요하고 또한 가치 있는 파트너”라며 “한국은 ICT, 혁신기술에 있어 선도적인 국가로 4차 산업혁명을 대비해 양국의 협력이 더욱 강화될 수 있도록 독려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문재인 대통령과 하싸날 볼키아 브루나이 국왕이 24일 청와대서 정상회담을 하기전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연합>
문재인 대통령과 하싸날 볼키아 브루나이 국왕이 24일 청와대서 정상회담을 하기전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연합>

양국은 정상회담 종료 후 두 정상의 임석 하에 △ICT 협력 △전자정부 협력 △스마트시티 협력 등 3건의 양해각서(MOU)를 교환했다.

문 대통령은 전날 리센룽 싱가포르 총리와 이번 정상회의 계기 첫 정상회담을 갖고 △양국 간 상생 번영과 우호 증진 △한반도 및 역내 평화 구축을 위한 협력 방안 등에 대해 논의했다. 문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양국 스마트시티 정책과 기업 노하우를 공유해 향후 제3국에도 공동 진출할 수 있도록 협력을 발전시켜 나가자”고 제안했다.

이에 리센룽 총리는 “현재 스마트시티는 많은 사람들에게 화두가 되고 있는 분야”라며 “국가마다 도시마다 생각하는 모델이 다를 텐데 어떤 요건이 필요하고 어떤 분야를 협력해야 할지 함께 논의해야 할 것”이라고 화답했다.

이어 문 대통령은 “1차 북미 정상회담 개최국인 싱가포르가 앞으로도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 정착을 위해 건설적 역할을 해 줄 것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특별정상회의 기간 동안 캄보디아를 제외한 9개국 정상과 모두 정상회담을 가질 예정이다. 당초 10개국 정성과 양자 회담을 가질 계획이었으나 훈센 캄보디아 총리 불참으로 취소됐다.

성현희기자 sunghh@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