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이 민간 클라우드를 도입, 공무원 당 2대를 사용하던 PC를 1대로 줄이는 작업을 시작한다. 마이크로소프트(MS) 운용체계(OS) 윈도 대신 개방형 OS를 도입하는 등 특정 OS 종속도에서 벗어난다는 계획이다.
행정안전부는 이 같은 계획을 담아 개방형 OS 도입 전략을 수립하고 오는 10월부터 행안부 일부 인터넷PC(200여대 규모)에 개방형OS를 시범 도입할 계획이라고 4일 밝혔다.
공공기관은 정보 보호를 위해 공무원 1인이 행정업무용 PC와 인터넷용 PC 등 2대를 사용하고 있다. 행안부는 민간 클라우드 기반의 가상 PC 환경(DaaS)을 도입해 PC를 2대에서 1대로 줄인다. 가상 PC 환경은 PC를 책상 위에 두지 않고 필요한 때만 데이터센터에 접속해 원격으로 이용하는 것이다. 업무용 PC OS는 윈도를 이용하고, 가상 PC OS로 개방형 OS를 도입한다. 현재 국내 개방형 OS는 구름 OS, 하모니카 OS, 티맥스 OS 등이 있다.
행안부는 올해를 시작으로 행정기관에 단계적으로 개방형OS를 확산시킨다. 5년으로 지정된 PC 내구 연한이 끝나는 2026년부터는 대부분 공무원이 개방형OS를 사용하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행안부 관계자는 “안전하고 편리한 서비스 이용을 위해 새롭게 관련 보안인증 제도를 마련하고 관련 기업에 기존 프로그램 호환성 확보를 위한 예산과 기술을 지원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행안부는 최근 윈도7 기술 종료 사례처럼 특정 기업에 종속된 프로그램 사용으로 발생하는 해당 기업의 기술 지원 중단, 전체 프로그램 업그레이드 등을 교체 배경으로 설명했다.
각 행정·공공기관은 지난달 14일부터 윈도7 기술 지원 종료에 따라 PC 등에 탑재된 윈도7을 윈도10으로 교체했다. 지난해까지 전체 공공 가운데 80.47%가 윈도10으로 교체했고, 올해 안에 99%가 교체를 마무리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과정에서 PC, OS 구매 등에 약 7200억원이 투입됐다.
행안부는 개방형OS 이용으로 연간(2026년 이후부터) 약 700억원 이상의 비용 절감과 함께 외국계 기업이 독점하고 있는 PC·OS 시장에 국내 기업의 진출이 쉬워질 것으로 전망했다. 주기적으로 발생하는 기술 종료에 따른 각종 보안 문제와 이에 따른 대응 방안 마련 등 부수 업무가 사라지는 효과도 기대된다.
최장혁 행안부 전자정부국장은 “개방형OS를 도입해 특정 업체 종속 문제를 해소하고 예산도 절감할 수 있다”면서 “개방형OS 정부 수요와 관련해 국내 기업의 시장 참여 및 기술 투자 기회를 마련해서 민간 클라우드 시장 확대와 새로운 소프트웨어(SW) 생태계 조성에 도움이 되도록 관계 부처와 긴밀히 협의하겠다”고 말했다.
김지선기자 river@etnews.com
행안부, 개방형 OS 도입전략 수립…
-
김지선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