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리아 포비아' 확산...글로벌 전략 '무산' 우려

한국발 입국 금지·제한 81개국에 달해
美, 한국 여행경보 격상·대구 여행금지
기업 "장기화 땐 신규사업 등 타격"
한국 기업 '고립' 막을 정부 조치 시급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국내 코로나19 확진 환자가 급증하면서 '코리아 포비아'가 전 세계로 확산되고 있다. 한국발 입국을 금지하거나 제한하는 곳이 무려 81개국에 달해 해외 사업 비중이 큰 국내 산업계에 심각한 타격이 예상된다. 기업들은 해외 사업에 미칠 영향을 분석하고 대응 방안을 모색하는 등 대책 마련에 착수했다.

1일 외교부에 따르면 한국을 입국 금지 및 제한 국가로 지정한 나라가 81개로(1일 오후 7시 기준) 집계됐다. 입국금지 37개국, 자가 격리와 검역 강화 등 입국절차 강화가 44개국이다.

입국 금지 및 제한 조치는 초기에 일부 국가만 시행했지만 국내 코로나19 환자가 연일 수백명씩 증가하면서 참여 국가가 빠르게 늘고 있다. 이보다 앞선 25일(오전 2시 기준)에는 17개국에 불과했지만 불과 5일 만에 60개국 이상 급증했다. 정부가 외교적인 설득에 나섰지만 입국 금지와 제한에 나서는 국가들을 막지 못했다.

특히 일본, 중국(11개 성과 시), 영국, 터키, 베트남, 인도, 대만, 중동 등 우리나라와 교류가 많은 나라들이 대거 가세해 우려가 커졌다. 세계 최대 경제 대국인 미국이 한국 여행경보를 3단계(여행 재고)로 격상시키고, 대구 지역은 '여행금지' 조치를 내린 것도 파장이 예상된다. 미국의 결정은 많은 나라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국내 산업계는 초긴장 상태다. 기업들은 입국 금지 및 제한 조치 현황 파악과 영향 분석, 대책 마련 등을 위해 분주한 모습이다. 입국 금지 등 조치가 이제 막 시작돼 당장은 큰 영향이 없지만 장기화되면 사업 진행에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특히 해외 신규 사업 추진, 설비투자 등에는 심각한 타격이 예상된다. 실제로 베트남의 한국인 입국 금지 조치가 장기화할 경우 삼성전자가 베트남에 확충하는 폴더블폰 생산 라인, LG전자의 신제품 스마트폰 생산 라인 운영 등에 차질이 예상된다. 국내 기업들의 생산기지가 몰려 있는 중국 지방정부의 입국제한도 공장 운영에 차질을 줄 수 있다.

전자업계 대기업 관계자는 “현재는 국내 인력에 대한 해외 출장을 제한하고 있어 해외 국가들이 입국 금지나 제한을 해도 큰 영향이 없다”면서도 “당장은 큰 영향이 없지만 향후 해외 출장이 불가능해지면 사업 수행에 어려움이 생길 수밖에 없다”며 촉각을 곤두세웠다.

다른 대기업 관계자는 “해외 사업이 원활해지려면 최고 경영진부터 구매, 마케팅, 영업, 기술 인력까지 교류가 빈번해야 한다”면서 “영상회의와 콘퍼런스콜 등으로 대체하고 있지만 출장 제한이 장기화하면 문제가 커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델타·유나이티드·하와이안 등 미국 항공사를 비롯해 터키, 러시아, 몽골, 우즈벡 등 외국 항공사들이 한국행 비행편 운항을 중단하거나 축소하는 것도 문제다. 여행 제한을 넘어 자원과 물자 교류에도 차질이 빚어지기 때문이다.

한국경제연구원에 따르면 2018년 기준 매출 상위 10대 기업의 해외 매출 비중은 65.9%에 이른다. 삼성전자의 경우 이 비중이 무려 86.1%나 된다. 업계는 한국 기업들이 고립되는 것을 막기 위한 정부 차원의 조치가 시급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재계 관계자는 “기업 차원에서 입국 금지나 제한 조치를 해결할 수 있는 부분은 사실상 없다”면서 “정부가 외교 활동을 적극 전개, 입국 제한 조치에 대한 해결책을 찾아야 한다”고 촉구했다.

권건호기자 wingh1@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