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산업진흥 중장기계획 발표 임박···“대·중·소 기업 모두 아울러야”

문화체육관광부에 따르면, 향후 5년을 대비하는 게임산업 중장기계획 마련이 막바지에 접어들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여성가족부 등 타 부처 협의를 마치고 문구 수정 등 마지막 조율이 한창이다. 앞서 문체부는 지난 달 18일 게임산업 재도약을 위한 대토론회를 열고 전문가와 업계 의견을 수렴했다. 토론회 모습.
문화체육관광부에 따르면, 향후 5년을 대비하는 게임산업 중장기계획 마련이 막바지에 접어들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여성가족부 등 타 부처 협의를 마치고 문구 수정 등 마지막 조율이 한창이다. 앞서 문체부는 지난 달 18일 게임산업 재도약을 위한 대토론회를 열고 전문가와 업계 의견을 수렴했다. 토론회 모습.

게임산업진흥 중장기계획 발표가 임박했다.

게임업계는 대기업과 중소기업을 포함해 생태계를 고르게 아우르는 계획이 마련되길 희망했다.

문화체육관광부에 따르면, 향후 5년을 내다보는 게임산업 중장기계획 마련이 막바지에 접어들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여성가족부 등 타 부처 협의를 마치고 문구 수정 등 마지막 조율이 한창이다.

앞서 문체부는 지난달 18일 게임산업 재도약을 위한 대토론회를 열고 전문가와 업계 의견을 수렴했다. 당초 문체부가 계획한 발표 시점은 3월이지만 코로나19가 확산하면서 발표 시기를 고심 중이다. 이르면 이달, 늦어도 다음 달에는 발표가 예상된다.

게임산업진흥 중장기계획은 '게임산업진흥에 관한 법률'에 명시한 법정 계획이다. 동법 제3조는 문체부 장관이 제도 개선, 기반조성, 해외시장 진출 등을 포함해 게임산업진흥을 위한 종합계획을 수립해야 한다고 명시했다.

문체부가 2014년 말 발표한 중장기계획은 2019년까지 2300억원을 투자, '차세대 게임산업 신 영역창출' '게임산업 재도약 기반 마련' '게임인식 제고를 통한 가치 재발견' 등 3대 목표 11대 과제를 추진하는 게 골자였다.

이번 중장기계획 역시 게임산업 재도약을 위한 예산지원과 제도 개선이 핵심이 될 전망이다.

가상·증강현실(VR·AR)과 블록체인 등 신기술 기반 게임을 위한 차세대 융합 플랫폼 구축, 경쟁력 강화를 위한 핵심기술 연구개발(R&D) 사업, 해외시장 진출, 인력 양성, 이용자 보호와 게임 인식 개선 등을 지원하기 위한 과제가 예상된다.

하반기 게임산업법 전부개정안 발의가 예정된 만큼 법안과 연관성도 무시할 수 없다. 법안이 중장기계획 시행을 위한 방안과 근거가 되기 때문이다.

국내 게임산업은 성장률 저하, 중국 등 해외 게임사와 치열한 경쟁 등 재도약을 위한 계기 마련이 절실한 시점이다. 대기업과 중소기업 양극화, 게임에 대한 인식 저하 역시 해결 과제다.

게임업계는 이번 중장기계획에 이 같은 문제 해결책과 함께 규모별 회사를 모두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이 담기길 희망했다.

게임사 관계자는 “중소기업은 중소기업에 맞는, 대기업은 대기업에 맞는 맞춤형 지원이 요구된다”면서 “소규모 기업 지원도 중요하지만 매출 5000억원 안팎 중견 기업이 여럿 나와 국내 게임산업 허리가 튼튼해지도록 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다른 업체 관계자는 “게임 콘텐츠 순기능을 널리 알릴 수 있는 과제들로 구성해 과제 간 연속성을 갖게 했으면 한다”면서 “중장기계획이 게임산업 생태계 전반에 윤활유 역할을 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안호천기자 hca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