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크]똑똑한 자동차램프, 주변 환경과 소통하는 매개체로 진화

19세기말 내연기관 자동차는 선망과 호기심의 대상이었다. 당시 램프기술의 부재로 밤길에서는 사고의 위험이 뒤따르기도 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운전자에게는 주변 환경을 밝혀주고, 보행자에게는 자동차 주행을 알려주는 램프가 개발되기 시작했다. 예전이나 지금이나 램프기술의 본질은 빛을 매개체로, 운전자와 보행자에게 '주위 환경정보를 알려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20세기에 들어서는 광원(Light Source)기술이 눈부시게 발전했다. 초창기 호롱불 형태의 '오일램프'부터 시작해 백열전구, 할로겐, HID와 같은 광원들이 차례로 개발되며 주변을 더욱 밝게 볼 수 있게 됐다. 최근엔 발광다이오드(LED) 램프가 기존의 램프를 빠르게 대체하고 있다. LED 램프의 장점은 전구를 사용한 램프에 비해 수명이 길고, 광원의 광량이 높아 운전자에게 훨씬 밝은 시야를 제공한다.

현대모비스의 전기차 기반 공유 컨셉차 엠비전S는 차량 좌우전후에 위치한 스크린을 통해 운전자의 메시지를 다른 차량이나 보행자에 전달할 수 있다.
현대모비스의 전기차 기반 공유 컨셉차 엠비전S는 차량 좌우전후에 위치한 스크린을 통해 운전자의 메시지를 다른 차량이나 보행자에 전달할 수 있다.

운전을 해본 사람이라면 누구나 주변을 잘 보기 위해 상향등을 켜고 달리고 싶었던 적이 있을 것이다. 하지만 앞선 차량이나 마주 오는 차량 운전자의 눈부심 때문에 특수한 상황이 아니면 상향등을 끄고 운전하게 된다.

최근 들어 항시 상향등을 켤 수 있는 램프가 출시되고 있다. ADB(Adaptive Driving Beam) 램프인데 차량에 장착된 카메라로 내 앞의 차량을 인식해, 전방 차량이나 맞은편 차량이 위치한 구간만 빛을 차단하는 기술이다. 이를 통해 상대방에게 눈부심을 주지 않고 상향등을 켜고 운전할 수 있다. 앞으로 이 기술은 더욱 상용화돼 누구나 편리하게 사용할 전망이다.

램프는 본래 목적대로 주위 환경을 잘 보게 해주는 용도뿐만 아니라, 다양한 이미지를 나타내기 위해서도 진화하고 있다. 많은 연구 결과에서 램프 디자인이 차량 이미지를 결정하는데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렇기 때문에 자동차 제조사들은 램프 디자인을 통해 해당 브랜드의 정체성을 보여주기도 한다.

최근엔 레이저, OLED, 반투과 거울(Half Mirror) 등 새로운 기술들이 접목돼 다양한 이미지를 나타낸다. 이러한 추세에 맞춰 현대모비스는 세계 최초로 렌티큘러 렌즈를 사용해 엠블럼 등을 3D 이미지로 구현하는 램프를 개발해 상용화에 성공했다.

자율주행에 관심이 높아지면서 램프기술은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있다. 주변과의 상호 작용이다. 많은 글로벌 완성차들이 램프를 통해 주변과의 소통을 시도하고 있다. 특히 자동차 그릴부와 램프의 영역 구분이 사라지면서, 램프가 정보를 표현할 수 있는 공간이 더욱 확대되고 있다.

현대모비스는 자율주행 자동차에 맞는 램프기술을 확보하기 위해 인력과 투자를 집중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그릴부 램프를 통해 차량 정보를 표시하는 연구와 DMD(Digital Micro Mirror Device)를 이용해 노면에 정보를 표시해 보행자와 소통하는 연구 등이다.

초기의 램프가 단순히 자동차와 주변 환경을 파악할 수 있는 원초적 정보를 주는데 그쳤다면, 현재의 램프는 방향지시등, 비상등과 같은 기능을 활용해 사용자의 의도를 전달한다.

특정한 모션을 취함으로써 정보뿐만 아니라 감정도 나타내는 것이다. 앞으로 자율주행차가 상용화되면 램프는 더욱 다양한 알림수단으로 본연의 목적 그 이상으로 활용될 전망이다.

박태준기자 gaius@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