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사태로 언택트(비대면)가 화두인 가운데 소프트웨어(SW)업계가 원격 개발 확산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물리적 '원격지'를 넘어 온라인 기반의 '원격' 개발 단계로 뛰어넘어야 한다는 지적이다. 박진국 한국IT서비스산업협회장은 전자신문이 지난 19일 개최한 '원격지 개발 화상 좌담회'에서 “코로나19 확산 이슈로 원격 개발 운영의 필요성이 커졌다”면서 “원격지 개발센터가 아니라 온라인 클라우드 원격개발 센터 마련과 제도 지원이 시급하다”고 역설했다.
공공 SW개발사업의 원격지 개발 필요성은 수십 년 동안 대두됐다. 공공SW 개발 사업은 발주자 사업장 내부 또는 발주자 인근 작업장 설치(온사이트) 관행이 이어진다. 공공 분야의 지방 이전이 증가하면서 출장, 지방 거주 문제 등이 불거졌다. SW업계의 비용 부담이 늘었고, 이는 기업 재정 악화로 연결대의 악순환 구조를 만든다. 업계는 공공기관 위치 지역을 벗어나 원격에서 개발 사업을 수행하도록 줄기차게 요구했다.
그러나 공공은 정보 유출, 개인정보 보호 등 보안 우려로 원격지 개발 도입을 꺼리고 있다. 이 때문에 정부와 업계는 보안을 강화한 물리적인 지원 공간(원격지 개발센터)을 별도로 마련해 개발하는 방안을 제안했다. 이제 원격지 개발에서 '원격'으로 한 단계 더 나아가야 할 때라고 주장한다. 박 회장은 “원격지 개발은 기존 개발 방식을 단지 사업자가 지정한 장소에서 이뤄지게끔 하는 것을 의미해 재택 근무, 모바일 근무 등을 포함하는 '원격 개발'과는 차이가 있다”면서 “원격 개발이 빠르게 정착되기 위해서는 대부분 개발 업무를 온라인 및 클라우드로 관리하는 개념 전환과 준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조기현 유엔파인 대표는 “민간은 서비스형플랫폼(PaaS)에 클라우드로 접속해 SW 개발 사업을 상당수 진행하고 있다”면서 “공공도 단순 물리적 원격지 개발 센터보다 클라우드로 언제 어디서든 원격 접속이 가능한 원격 작업장을 만들어서 제공하면 보안 문제도 해결하고 작업 속도도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도 코로나19 사태를 기점으로 원격 개발 목소리가 높아지면서 정책 지원을 이어 간다는 방침이다. 송경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소프트웨어정책관은 “코로나19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SW 개발 시 원격지 SW 개발이 더욱 필요하다는 것을 실감했다”면서 “확산과 촉진 근거를 담은 SW산업진흥법 전부개정안이 조속히 통과되도록 지원하고, 행정안전부 등 유관 부처와 협의해 관련 제도를 개선하겠다”고 말했다.
김지선기자 river@etnews.com
-
김지선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