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규성의 '디지털뉴딜']<4>똑똑하고 안전한 도시로 가는 길, 스마트 도시관제시스템

[노규성의 '디지털뉴딜']<4>똑똑하고 안전한 도시로 가는 길, 스마트 도시관제시스템

코로나19 대응에서 우리 방역시스템은 민주주의 선진 국가의 새로운 모델로 평가받는다. 특히 세계 언론은 확진자 동선 파악을 '탁월(stand out)'이라고 할 정도로 높게 평가했다. 정보 자체를 얻기 어려운 다른 나라와 달리 우리나라는 모바일 및 빅데이터(신용카드 사용 내역, CCTV 영상 등)를 활용해 확진자 이동 경로를 신속히 파악하고 공개했기 때문이다. 시민의 능동 대응을 끌어내고, 물건 사재기 등 공황 현상을 막을 수 있은 이유가 여기에 있을 것이다. 물론 종합평가는 코로나19 종식 후의 일이겠지만 적어도 한 가지만은 분명하다. 디지털 기술이 가져올 더욱 안전하고 평온한 사회의 일면을 우리는 미리 경험했다는 사실이다. 아직 걸음마 수준이지만 우리가 하루 빨리 스마트도시로 가야 하는 이유다.

스마트도시의 기본 목표는 화재·사건사고·재난 상황으로부터 우리 삶을 보호하는 것이고, 궁극으로는 주거·복지·교통·보건의료·환경 등 영역에서 안락하고 편리한 도시 생활을 구현하는 것이다. 이러한 미래 스마트도시는 교통, 환경, 안전 등의 미래형 도시관리 인프라와 서비스를 아우르는 스마트 도시 관제부터 출발해야 한다.

이미 선진국의 주요 도시 중심으로 스마트 도시 관제 모델을 개발하기 위한 움직임은 시작됐다. 우리의 인천경제자유구역 모델도 주목받고 있지만 아직 완성형이 아니다. 다른 지역의 사업 성과 역시 미흡하다. 개별 부처와 지방자치단체의 관심 영역에 한정된 과제가 많아 교통, 환경, 안전 등 기술 연계가 잘 되지 않고 있다. 투입 예산도 적어 실증·사업 본격화에 이르지 못하고 있다.

이에 범정부 차원의 디지털 뉴딜을 통한 스마트도시 통합 관제의 활용성 제고를 제안한다. 먼저 디지털 도시 관제 기술 개발을 추진해야 한다. 이를 위해 인공지능(AI) 신호등, 지능형 폐쇄회로(CC)TV, 에코스마트상수도 등 스마트 도시 관제 기술에 대한 정부의 연구개발(R&D) 예산을 대폭 늘려야 한다. 민간 기업이 개발하고 정부가 서비스를 구독하는 민·관 협력 방식으로 추진해 나가면 향후 글로벌 시장을 선도하는 밑바탕을 구축할 수 있다. R&D 과제 공모 시에는 교통과 환경, 보건과 소방 등 융합형 과제에 가산점을 부여해 영역 간 기술 연계성을 높여야 한다.

다음으로 상용화된 기술 기반으로 신속하게 디지털 인프라를 구축해야 한다. 우선 이미 지정된 10개 혁신도시를 중심으로 5세대(5G) 이동통신, 사물인터넷(IoT) 등 스마트 도시 관제 서비스 운영에 요구되는 기초 인프라를 구축하고 이를 신속하게 전국으로 확산시켜 나가야 한다. 이는 관련 산업 육성을 위한 마중물 역할을 할 것이다.

디지털 도시 관제 인프라 구축과 동시에 통합 관제 플랫폼을 구축, 도시정보를 활용하는 단계로 나아가야 한다. 스마트 관제시스템으로 수집된 데이터를 축적 분석하면 교통·방범·미세먼지·상하수도 관리 등 디지털 행정에 활용할 수도 있다. 또 민간에 개방함으로써 신산업과 서비스가 지속 출현하는 선순환 구조를 만드는 것도 가능하다.

코로나19 사태에서 세계가 한국의 대응 모델에 엄지를 치켜세우면서도 자국에 적용하지 못하는 것은 정보통신기술(ICT) 인프라 미흡 때문이다. 다행스럽게도 우리는 현재의 인프라를 잘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앞으로가 더 중요하다. 스마트도시는 지능형 도시 구현을 넘어 그 자체로 엄청난 부가 가치와 일자리를 창출할 것이다. 디지털 뉴딜을 통해 구현한 디지털 사회 안전망으로 더 안전한 국가, 일자리가 넘치는 사회를 희망한다.

노규성 한국생산성본부 회장 ksnoh114@kpc.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