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22일 '한국판 뉴딜' 추진 계획을 밝히면서 '디지털 뉴딜' 필요성을 강조했다. 일자리 문제 해결을 넘어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대비해 정보통신기술(ICT) 분야를 '한국판 뉴딜'의 중추로 삼겠다는 의지를 밝힌 것이다.
강민석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오후 춘추관에서 브리핑을 갖고 “문재인 대통령은 일종의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맞이해 디지털 일자리를 강조했다”고 전했다.
이날 오전 열린 5차 비상경제회의 비공개 토론에서 문 대통령이 한국형 뉴딜과 관련해 디지털 인프라와 빅데이터 분야 등을 준비하라고 지시했다는 것이다.
문 대통령은 코로나19 방역에 대해서도 자가진단 앱 등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사례를 예로 들며 '디지털 뉴딜'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코로나19 이후 우리나라 의료·과학기술 및 ICT 인프라를 활용한 비대면 산업이 전 세계적으로 각광을 받는 것을 활용하겠다는 것으로 풀이된다.
이날 정부가 발표한 5차 비상경제회의 대책 중에선 코로나19 이후 각광받는 비대면 디지털 산업에 대한 일자리 창출을 정부가 추진한다는 내용도 들어있다.
공공부문에선 저소득층·청년 등 취약계층 직접일자리 지원의 구체적인 방안으로 비대면·디지털 정부 일자리 등이 포함됐다. 민간부문에선 IT 활용 가능한 민간 일자리로, 기록물 전산화와 온라인 콘텐츠 기획·관리, 취약계층 IT 교육 등이 발표됐다.
강 대변인은 “오늘 발표한 일자리 대책의 큰 흐름은 구조조정 통한 기업 살리기와 고통분담 방식과는 완전히 다르다”고 했다. 정리해고를 통한 기업 살리기가 아닌 일자리를 지키는 기업 살리기라는 뜻이다.
안영국기자 ang@etnews.com
-
안영국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