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일본 정부 수출규제에 대응해 적극 육성 중인 소재·부품·장비(소부장) 100대 핵심 품목을 300개 이상으로 대폭 확대한다. 주요 품목 해외 의존도를 낮춰 일본 수출규제 사태를 되풀이 하지 않는 것은 물론 코로나19 이후 급변할 글로벌밸류체인(GVC)에 적극 대응하기 위한 선제 조치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1일 서울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성윤모 장관 주재로 '제2차 포스트 코로나 산업전략 대화'를 개최하고 이 같은 방안을 논의했다.
회의는 작년 8월 소부장 경쟁력 강화 대책으로 수립한 100대 핵심 품목 공급안정화 성과를 점검하는 한편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으로 급변이 예상되는 글로벌 공급망에 대한 민·관 공동 대책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성 장관은 소부장 GVC 재편에 대비하기 위해 3대 정책 방향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우선 현재 일본에 초점을 맞춘 100대 품목을 세계로 시선을 돌려 총 338개 품목으로 확대, 철저한 공급망 관리를 추진한다. 기업들의 수급처 다변화 지원, 국가 간 협력채널 강화 등 정부 차원에서 회복력 강한 수급 체계 구축에도 나선다. 또 GVC 재편 과정에서 우리나라를 투명하고 안전한 첨단산업의 '세계 공장'으로 탈바꿈시키는 데도 힘을 쏟을 방침이다.
성 장관은 “우리 기업들에 코로나 이전과 이후는 극명하게 다를 것”이라면서 “소부장 핵심 기업을 육성하는 한편 글로벌 기업의 투자 유치, 우리 기업의 리쇼어링 등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지난해 8월부터 추진된 소부장 경쟁력 강화 정책과 기업들의 기술 자립화 노력에는 긍정 평가가 이어졌다.
정부는 작년 7월 일본 정부가 수출규제 조치를 단행하자 즉각 대응 체계를 갖췄다. 특히 일본의 수출규제 품목인 △불화수소 △포토레지스트 △불화폴리이미드는 미국, 중국, 유럽 제품을 대체 투입을 비롯해 국내외 기업의 투자유치, 생산 확대 등으로 공급 안정화에 성공했다.
수급 상황이 불확실했던 100대 핵심 품목 재고량은 기존 대비 2~3배 수준으로 확대했다. 필름소재 등 76개 품목은 미국, 유럽 등 대체 수입 채널을 확보하는 데 성공했다. 또 48개 품목은 인수합병(M&A) 13건과 총 7340억원 규모 투자 프로젝트로 생산 역량을 강화했다.
성 장관은 “우리 정부와 기업은 다각적 방안을 총동원해 수출규제 3대 품목의 실질적 공급안정화를 달성했다”면서 “민관이 합심한 일본 수출규제 대응은 기업인들의 피나는 노력의 결과”라고 강조했다.
산업부는 코로나19 위기 극복을 위해 업종별, 주제별 산업 전략 대화를 지속 추진할 예정이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대비해 △글로벌 공급망 재편 △비대면산업 육성 △K-방역·K-바이오 글로벌 진출 △포스트 코로나 글로벌 협력 리더십 등에 관한 정책을 마련할 방침이다.
윤희석기자 pioneer@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