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韓 뉴딜, 노후 SOC 디지털 일환 '데이터 댐' 사업 추진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도량, 상·하수도 등 노후 사회간접자본(SOC)에 센서와 정보기술(IT) 장비를 부착해 인프라 상태를 데이터로 관리하는 '데이터 댐' 사업이 추진된다. 데이터 댐은 대규모 데이터저장소를 말한다. 노후 SOC 시설을 데이터로 분석해 개·보수 시점을 명확히 짚는 것이 핵심이다. 기획재정부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정보화진흥원(NIA)과 '데이터 댐' 구축 논의를 시작했다. 다음 달 초 발표하는 하반기 경제정책 방향과 3차 추가경정예산에 '노후 국가기반시설 디지털화' 사업을 반영하기 위해서다. '데이터 댐' 사업안이 추경에서 확정될 경우 노후화 SOC에 데이터·정보통신기술(ICT)을 융합하는 과제는 내년부터 시작된다.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사진=연합뉴스]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사진=연합뉴스]

사업은 기재부가 지난주 발표한 '한국형 뉴딜정책' 안건에 포함돼 있다. 도로·전기·통신, 상·하수도 등 노후 SOC 관리에 들어갈 예산을 절감하고 관련 디지털 일자리까지 확대할 수 있어 관심이 높다.

데이터 댐 구축을 위해선 1960~1970년대에 지은 노후 시설에 최첨단 센서, 5세대(5G) 이동통신 등 ICT 기반 장비를 적용해야 한다. 이후 정부·지방자치단체 등은 시설 균열이나 각종 피로도 등 응집된 정보를 활용, 시설을 적시에 보수한다. 기재부 관계자는 “담당 부처와 데이터 댐 사업을 논의하고 있다”면서 “이 가운데 한국형 뉴딜 사업과 취지가 맞는 것은 응용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그러나 “다만 뉴딜 태스크포스(TF)를 통해 사업을 구체화하는 단계”라고 덧붙였다. NIA 관계자는 “시설물 노후 정도가 얼마가 됐는지 분석하는 것이 중요해졌다”면서 “관행적인 관리보다 데이터로 관리하게 되면 이상 징후를 발생했을 시 조기에 대응, 대형 사고를 막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앞으로 데이터가 외부에 개방되면 민간 기업 수요도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SOC 관리에 빅데이터, 인공지능(AI) 등 기술이 융합되기 때문에 IT업계에도 호재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데이터 인프라 구축 과정에서 일자리 창출 효과도 기대된다. IT업계 관계자는 “연관 산업 분야의 다양한 일자리 수요는 증가할 것”이라면서 “ICT 전문성이 요구되는 양질의 일자리는 물론 노동집약형 작업이 요구되는 일자리 창출 가능성도 짙어 디지털 경제의 일자리 창출 잠재력은 무궁하다”고 말했다.

유재희기자 ryuj@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