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와 민간이 해상풍력 기술 개발 및 사업화에 힘을 모아 선도국가 도약을 꾀한다. 정부는 관련 예산을 확대하고 한국전력공사와 두산중공업 등은 핵심 기술 개발에 집중한다. 또 현대중공업, 대우조선해양, 삼성중공업 등 조선 3사는 부유체 설계와 제작을 전담할 것으로 전망된다. 개발이 순조롭게 이뤄지면 우리나라가 부유식 해상풍력 실증 단계에 있는 해외 선진국을 추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8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지난주 정부가 마련한 제3차 추가경정예산에서 '그린 뉴딜' 관련 예산은 4639억원이 편성됐다. 이 가운데 해상 풍력 부문에는 △해상풍력 인프라 기술 개발 등 160억원 △대규모 해상풍력 단지 개발 지원 35억원 등 195억원이 할당됐다.
애초 정부가 올해 예산안에 책정한 해상풍력 관련 예산은 '초대형 풍력 실증기반 구축 사업' 58억5000만원이었다. 그러나 3차 추경으로 관련 예산은 300억원에 육박하는 수준으로 늘어났다.
산업부는 초대형 풍력 실증 기반 구축 사업을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을 통해 진행하고 있다. 에기평은 이보다 앞서 지난 1월 21일 관련 공고를 냈고, 제안요청서(RFP)를 받았다.
이 사업에는 한전이 참여한 것으로 확인됐다. 한전은 부유식 해상풍력 전반에 걸친 운영시스템 연구개발(R&D) 전략을 수립, 보고했다. 부유체의 움직임 분석과 운송 이후 설치 기술 등을 망라한다. R&D 로드맵은 크게 세 단계로 나뉜다. 올해부터 2022년까지 부유식 해상풍력 사업성을 확보하고 원천기술 개발에 나선다. 2023~2025년에는 소규모 실증과 전 주기 기술을 확보하고, 2026~2030년에는 실제 운영에 들어간다는 목표다.
한전 관계자는 “풍력 터빈의 경우 주 제작사가 있다”면서 “이를 제외한 부유체 전반 등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으로 보면 된다”고 설명했다.
해상풍력 터빈 기술 개발은 두산중공업이 주도한다. 두산중공업은 이미 5.56㎿ 규모의 터빈을 개발했고, 2022년까지 8㎿급을 개발한다는 계획이다. 예정대로면 늦어도 2025년까지 부유식 해상풍력 관련 핵심 주 기기부터 부수 기기까지 국산화가 가능하다.
부유체 제작은 국내 조선 3사가 맡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들은 모두 자체 부유체 기본 설계팀을 보유하고 있다. 반잠수식 시추선과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생산설비(FLNG) 등 개발 모델 및 공급 실적이 있다. 국내외에 적합한 부유식 해상풍력이 반잠수식임을 감안할 때 부유체 제작까지도 문제가 없는 셈이다.
부유식 해상풍력 국산화에 성공할 경우 막대한 블루오션 시장이 열릴 것으로 전망된다. 세계 최대 석유가스 회사 가운데 하나인 에크비노르는 오는 2030년 부유식 해상풍력 세계 시장 규모가 13GW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시장 규모는 수십조원대에 이르지만 글로벌 경쟁사는 극소수다. 지멘스, 베스타스, 히타치, 미쓰비시 정도만 해상풍력 터빈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정부는 2030년까지 48.7GW 규모의 신재생에너지 개발에 나선다. 이 가운데 34%(16.5GW)를 풍력발전으로 채운다는 계획이다. 향후 해상풍력에 투자가 집중될 것으로 전망된다.
산업부 관계자는 “현재 부유식 해상풍력은 R&D 단계”라면서 “정부는 육상과 해상 및 부유식을 망라해 풍력발전 목표치 달성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류태웅 기자 bigheroryu@etnews.com
3차 추경서 관련 예산 300억 수준 확대
-
류태웅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