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신용정보원이 매년 급증하는 보험 사기를 막기 위해 첫 '통합 보험 이상금융거래탐지시스템'(FDS)을 만든다.
22일 업계에 따르면 신용정보원은 올해 유관 법률 검토를 거쳐 '보험사기예방시스템' 개발에 착수하고 상용화에 나선다. 모든 금융회사와 기관 데이터를 집적한 초대형 보험 사기 예방 시스템이 등장할 예정이다.
그동안 중소형 생명·손해보험회사는 보험개발원이 만든 보험사고정보시스템(ICPS)을 사용하거나 자사 통계시스템을 이용했다. 이 때문에 상대적으로 빈약한 정보를 활용해 유효한 성과를 얻는 데 제약이 있었다. 대형 보험사도 다르지 않다. 자체 보험사기대응시스템을 구축했지만 자사 데이터만을 활용할 수밖에 없어 고도화된 보험 사기에 적시 대응이 어렵다는 지적이 있었다.
신정원은 모든 금융회사와 기관 데이터를 집적한 보험사기예방시스템을 만들기로 했다. 보험사기예방시스템 개발 착수 전 '신용정보 및 보호에 관한 법률'(신용정보법) 개정 시점 이전에 발생한 데이터 재집중 규제 등 관련 법률 검토가 진행되고 있다. 법률 검토를 마치는 대로 시스템 구축에 착수한다는 계획이다. 구축되는 보험사기예방시스템은 △유의지표 서비스(보험사기 예측모형1) △의료기관별 통계조회 시스템 △스코어링 서비스(보험사기 예측모형2) 등으로 구성된다.
유의지표 서비스는 신정원이 자살이나 실종, 자해, 허위·과다 등 9종의 보험 사기 유형을 선별해 보험금 지급 심사에 활용할 별도의 유의 지표를 제공한다. 의료기관별 통계조회 시스템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의료기관 현황 정보와 신정원이 보유한 청구 정보를 결합해 분석, 통계자료로 보험회사가 살펴볼 수 있다. 스코어링 서비스는 빈번하게 발생하는 주요 보험 사기 유형에 대해 유사도를 계량화, 점수와 그래프 형태로 만든 것이다. 유형은 △차량-사람 사고 △차량-차량 사고 △차량-차량 사고(상호공모) △허위·과다 입원 등이다.
신정원은 “보험금을 특정 기간 내 너무 많이 받거나 잦은 분쟁 사유, 동일한 설계사와 병원을 자주 이용하는 유형 등을 분석해 빅데이터 등으로 이를 예측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반영할 계획”이라면서 “반복된 형태로 모형이 구축되면 해당 항목에 가중치를 둬 보험회사가 보험 사기 여부를 판단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신정원은 보험사기예방시스템이 보험 가입 거절의 빌미로 활용되는 등 악용 가능성에 대한 안전장치도 마련한다. 보험 가입 심사에는 보험사기예방시스템을 도입하지 않고 보험 사기 적발 시 보험사가 활용하도록 제공한다는 방침이다. 신정원 관계자는 “매년 보험 사기로 발생하는 사회 비용이 상당하고 선량한 소비자에게 전가하는 등 문제가 심각하다”면서 “개정 신용정보법이 시행되면 데이터가 더욱 풍성해지는 만큼 이를 활용해 보험 사기 적발에 활용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보험 사기는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2017년 7302억원이던 보험 사기 적발 금액은 2018년에 9% 넘게 증가해 7982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상반기에만 4134억원에 달해 기존 피해액을 크게 상회할 것으로 전망된다.
박윤호기자 yuno@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