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닛산이 한국 시장 철수를 결정하면서 후폭풍이 불가피하다. 직원 고용에서 딜러와의 계약, 사후관리(AS)까지 여러 문제가 불거질 조짐을 보이고 있다. 닛산은 지난달 전격 한국 시장에서 손을 뗀다고 발표했다. 실적이 곤두박질치면서 사업 재조정이 불가피해졌기 때문이다. 한국을 포함한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아세안) 주요 지역에서 철수하는 대신 일본, 중국, 멕시코 등에 집중하기로 했다. 닛산은 2019 회계연도에 순손실 6700억엔을 기록하며 적자 전환했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20년 동안 가장 나쁜 실적”이라고 설명했다.
철수를 결정한 지 1개월이 지났지만 사후 대책은 여전히 오리무중이다. 역시 AS가 가장 큰 관심사다. 닛산은 철수 발표 당시 AS를 2028년까지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현행 자동차관리법에서 사업자에게 8년 무상수리를 강제화했기 때문이다. 일단 정해진 규정은 지키겠다는 게 닛산의 입장이다. 그러나 이를 곧이곧대로 믿는 사람은 많지 않다. 인터넷설문업체 패널나우가 2만562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설문에 따르면 응답자의 68.5%가 앞으로 AS에 문제가 있을 것이라고 답했다. 닛산이 약속을 지켜지 않는다는 응답자가 10명 가운데 7명에 이르는 셈이다.
실제 서비스를 보장한다고 공언했지만 크게 축소될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닛산은 닛산 14곳, 인피니티 13곳 등 총 27곳의 서비스센터를 운영해 왔다. 이 가운데 위탁정비업체가 9곳이다. 일부 서비스센터는 매각을 준비하고 있다. 서비스센터는 딜러사가 운영할 수 있지만 무상수리와 부품공급 의무는 한국닛산에 있다. 책임을 물을 주체가 사라진 것이다. 시간이 지날수록 서비스가 소홀해지리라는 의구심이 들 수밖에 없다.
한국닛산은 철수에 따른 합당한 책임을 져야 한다. 최소한 법에 보장된 의무는 반드시 이행해야 한다. 정부도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기업과 소비자 간 계약 문제라고 손을 놔서는 안 된다. 자칫 닛산이 한국 시장에서 나쁜 선례로 자리 잡을 수 있다. 사안이 확대될수록 정부도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닛산은 한국에서 8만대 이상을 팔아 치웠다. 적지 않은 규모다. 국제분쟁으로 확산되지 않도록 초기에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