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수소경제 활성화에 시동을 걸었다. 민·관 컨트롤타워를 가동하고 오는 2040년까지 수소 전문 기업 1000개 육성에 나선다. 3기 신도시 가운데 두 곳을 수소 도시로 추가 조성하는 등 전방위 정책을 펼쳐 나가기로 했다.
수소경제는 다양한 분야에서 확산될 수 있다. 이에 걸맞게 수소경제위원회는 총리를 위원장으로 하여 산업통상자원부, 기획재정부, 환경부, 국토교통부, 중소벤처기업부 등 8개 관계부처 장관과 산업계·학계·시민단체 등 분야별 민간 전문가가 대거 참여한다.
수소 산업은 향후 높은 성장성이 기대된다. 친환경 에너지 산업이면서 자동차와 수소 관리 기술, 관련 소재·부품·장비(소부장)까지 확장성도 뛰어나다. 대형 모험 프로젝트이지만 성공할 경우 국가 산업의 한 축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미래 유망 산업에 범부처 차원의 역량을 집중하기로 한 것은 바람직하다. 대형 플래그십 프로젝트가 추진되면서 여러 유관 산업의 동시다발적인 성장 생태계가 마련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수소경제는 아직까지 전 세계적으로도 아주 초기 단계다. 우리나라 기존 산업의 역량에다 과감한 연구개발(R&D)과 투자, 정부의 좋은 조율이 있다면 충분히 세계 시장 선점을 기대할 수 있다는 점이다.
우선은 인프라 구축이 필요해 보인다. 수소차 보급과 수소충전소를 확대해야 한다. 대형화물차 및 중장거리 버스 등 수소차 보급 차종을 확대하고, 군부대·공공부지 등을 활용해 수소충전소 보급 속도를 높이는 등의 조치가 필요해 보인다. 이 과정에서 관련 요소 기술의 고도화와 다양한 수소경제 활용 분야를 넓히는 정책도 이어 가야 할 것이다.
큰 그림이 그려졌다면 이제부터는 실행이다. 단기 성과도 중요하지만 중장기 관점에서 세계 수소산업의 큰 흐름을 주도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초기부터 글로벌 시장까지 염두에 둔 표준과 특허 전략을 함께 고민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