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취약계층이 다수 이용하는 다중이용시설 실내공기질을 개선할 수 있는 솔루션이 개발됐다.
한국건설기술연구원(원장 한승헌)은 실내공기질 개선솔루션을 개발하고, 실증연구를 통해 개선효과를 성공적으로 확인했다고 2일 밝혔다.
어린이집과 노인요양시설 등 다중이용시설은 건강취약계층이 이용하고, 장시간 실내공간에 체류한다는 점에서 실내공기질 중요성이 매우 높다. 어린이집은 활동량이 많은 어린이가 실내에 거주해 이산화탄소(CO₂) 농도가 높아질 우려가 있고, 노인요양시설은 실내공기질과 더불어 악취 개선이 필요하다.
건기연 실내공기품질연구단(단장 이윤규)은 환기시스템, 자체 개발한 천연소재 기능성 무기질 도료 등 다중이용 시설 특성에 맞는 맞춤형 솔루션을 개발했다.
기능성 무기질 코팅재가 중점 역할을 한다. 천연광물을 주원료로 하는 실내 마감용 코팅재로 건축자재 발생 유해물질인 폼알데하이드(HCHO)를 69%, 총휘발성유기화합물(TVOC)은 98% 흡착· 저감하는 성능을 갖고 있다. HCHO 및 TVOC는 WHO에서 규정한 발암물질이다.
이들을 활용해 어린이집 CO₂ 농도를 1175ppm에서 728ppm으로 평균 38% 저감하고, 노인요양시설의 암모니아(NH3) 농도는 1.37ppm에서 0.04ppm으로 97% 저감하는 등 건강취약계층 실내공기질을 개선하는데 성공했다.
우리나라 다중이용시설 CO₂ 유지 기준은 1000ppm이다. 암모니아는 일반지역 허용농도가 1ppm 이하다.
이윤규 단장은 “그동안 실내공기질 연구는 주로 미세먼지와 라돈 저감에 집중돼 왔다”며 “이제는 건강 위해인자로 바이러스가 새롭게 대두된 상황에서 건물내 바이러스 확산방지 및 제어를 위한 연구를 확대 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연구단은 국가과학기술연구회(NST) 지원으로 2018년 12월에 설립됐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과 피움이 함께 참여했다. 실내 미세먼지 및 유해물질 저감을 위한 연구를 수행해 서울시, 인천시, 시흥시, 고양시 등 지자체와 MOU를 맺고 실증시설 실내공기질 개선을 진행해왔다. 올 하반기에는 고정밀 실내환경 통합센서를 실증시설에 적용해 지하도상가 실증연구도 진행할 예정이다. 또 건물내 코로나19 에어로졸 확산 특성과 방지방안 연구도 수행할 예정이다.
대전=김영준기자 kyj85@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