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 중국 간 무역 분쟁이 좀처럼 해결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오히려 갈등의 골이 더욱 깊어 가는 모양새를 띠고 있다. 오는 11월 재선을 코앞에 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강력한 보호주의 정책을 들고나오면서 미·중 분위기가 다시 경색됐다. 중국은 홍콩보안법을 강행하고 미국이 세계보건기구(WHO) 탈퇴를 선언하는 등 일촉즉발의 양상으로 치닫고 있다. 미-중 정치 갈등은 무역에도 미칠 파장이 불가피하다. 역시 가장 큰 타격이 우려되는 곳은 중소기업이다.
중소기업중앙회가 전국 수출 중소기업 300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미·중 무역 분쟁 확산에 따른 중소기업 영향 조사'에 따르면 86.3%는 무역 분쟁이 확산할 것으로 내다봤다. 중소기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절반인 51.3%가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전망했다. 예상 피해와 관련해서는 복수응답 기준 '세계 주요 시장 수출 감소'(71.4%), '미·중 환율전쟁으로 인한 변동성 증가'(38.3%), '대중국 수출 감소'(34.4%) 순으로 나타났다. 더 큰 문제는 절반 가까운 응답자인 42.0%가 대응 방안이 마땅치 않다고 답했다. 거래처와 시장 다변화, 연구개발(R&D) 투자 확대 등이 거론됐지만 비중이 높지 않았다.
미국과 중국 갈등이 한국 수출의 최대 리스크라는 데에는 이견이 없다. 자본력과 견실한 해외 판매망을 갖춘 대기업은 그나마 낫다. 중소기업은 속수무책이다. 쓰나미급 태풍을 예상하지만 마땅한 대책을 찾지 못하고 있다. 더욱이 코로나19 사태로 경기는 곤두박질치고 있다. 중소기업을 위한 정책 배려가 절실하다. 두루뭉술한 정책이 아니라 중소기업을 위한 맞춤 전략을 세워야 한다. 수출 지역을 다변화할 방안에서 해외 시장 정보 제공, 환율 변동에 따른 금융 정책, 마케팅 지원 방안 등 세심한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한국 경제의 뿌리 격인 중소기업이 휘청인다면 대기업도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 지금 지원에 나서도 이미 늦었다. 더 큰 피해로 중소기업의 역동성이 위축되기 전에 정부 차원의 전략 대응이 필요할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