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정원 "의약 바이오·정보통신 기술 가진 기업, 고용창출 커"

중소기업의 보유기술에 따라 고용창출 효과가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의약 바이오 및 정보통신 관련 기술의 경우 고용창출 효과가 다른 업권 대비 높았다.

한국신용정보원은 13일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기술신용평가정보를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신정원에 집중되는 기술신용평가를 이용해 2015년 1년간 평가된 약 2만4000개 기업을 산업기술분류에 따라 분류한 후 4개년(2016~2019년)간 절대적·상대적 고용효과를 분석한 결과다.

절대적 고용효과는 전년 대비 고용인원 증가율을, 상대적 고용효과는 매출액 10억원당 고용인원을 각각 말한다.

우선 16개 기술 분야의 고용창출 효과가 높게 나왔다. 그중 11개 기술 분야는 기업 업력과 무관하게 지속적인 고용창출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의약바이오 기술 및 디지털콘텐츠 등 6개 정보통신 관련기술 고용창출 효과는 특히 두드러졌다. 전체 평균 고용증가율(1.51%), 매출액 10억원당 고용인원(4.13명) 중 의약바이오 기술은 2016~2019년간 고용증가율 4.90%, 매출액 10억원당 5.21명으로 집계됐다.

정보통신 관련 6개 기술은 같은 기간 고용증가율 3.66%, 매출액 10억원당 5.79명으로 나타났다.

신정원 "의약 바이오·정보통신 기술 가진 기업, 고용창출 커"

사물인터넷(IoT), 소프트웨어(SW), 지식정보보안 등은 업력으로 고용형태 변화가 나타나는 기술로 조사됐다. 해당 분야는 창업초기 높은 고용증가율을 보였다. 게다가 업력이 증가함에 따라 상대적 고용효과 역시 높은 기술로 변화했다. 이에 신정원은 이 분야에 대한 고용효과의 연착륙이 가능하도록 정책당국의 세밀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신현준 신용정보원장은 “이번 분석결과를 볼 때, 기업의 보유기술 및 기술력이 반영된 고용·산업정책을 통해 '선도형 경제'로 전환이 필요하다”면서 “현재 구축 중인 기업다중분석 DB에도 이러한 고용효과 정보를 제공해 혁신금융이 금융현장에서 자리 잡고 고용창출 효과도 극대화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박윤호기자 yuno@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