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력 발전이 차세대 에너지원으로 주목받고 있다. 최근 부유식 해상풍력 등 관련 투자를 확대하고 있는 정부 정책에 힘이 실릴 전망이다.
13일 세계적 에너지 컨설팅 업체 우드매킨지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풍력 발전은 친환경성을 앞세워 차세대 에너지원으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분석됐다.
우드매킨지는 그 이유로 △낮은 비용 △각국 정부의 우호적 정책 △성장 가능성 △경제성 △글로벌 투자 등 다섯가지를 꼽았다.
우드매킨지는 풍력 발전 비용이 갈수록 낮아지고 있다고 진단했다. 주문자상표부착생산(OEM) 부문의 치열한 경쟁이 풍력발전 설비 규모와 생산량을 높인 반면에 투자 비용을 낮췄다는 것이다.
우드매킨지는 “5년 간 풍력 터빈 크기는 두 배 증가한 평균 8㎿에 이르는데, 최근에는 14㎿까지 확대됐다”면서 “단위 전력 생산에 필요한 비용인 균등화발전비용(LCOE)이 낮아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우드매킨지는 각국 재생에너지 전환 정책도 풍력 발전에 우호적이라고 짚었다. 실제 영국과 독일, 덴마크 등 풍력 발전 선진국은 온실가스 감축을 이유로 해상 풍력 등에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있다. 발전차액지원제도(FIT)로 최장 20년간 고정된 전기 가격을 보장하는 게 대표적이다.
현재 전 세계 풍력 발전량은 28GW에 이른다. 이는 영국 총 발전량의 3분의 1에 맞먹는다. 특히 이 가운데 해상 풍력 발전은 잠재성이 무궁무진하다. 바다가 가까이 있다면 어디서나 도입 가능하기 때문이다. 미국과 폴란드, 대만, 일본을 비롯해 최근에는 우리나라가 해상 풍력 개발을 선언했다.
우리나라는 친환경성과 경제성을 갖춘 풍력 발전, 나아가 해상 풍력에서 선도적 위치에 올라설 가능성이 커졌다. 정부는 차세대 재생에너지원으로 풍력 발전을 낙점,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올해 해상풍력 관련 예산으로 58억5000만원을 편성했다. 또 최근 3차 추가경정예산에서 '그린 뉴딜' 명목으로 편성된 4639억원 가운데 해상풍력 부문에만 195억원을 투입했다. 정부는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비중을 20%까지 높이는 '재생에너지 3020' 이행 목표로 해상풍력 보급량을 2030년까지 12GW까지 확대키로 했다. 울산시와 제주시 등 지방자치단체는 해상 풍력 육성에 발 벗고 나섰다.
한국풍력산업협회 관계자는 “우리나라 국토 면적 등을 감안할 때 해상 풍력 중심으로 갈 수밖에 없을 것”이라면서 “최근 정부가 해상 풍력에 관심을 갖는 데 고무적이고, 향후 세계 해상 풍력 시장에 진출할 수 있도록 차질없이 준비할 것”이라고 밝혔다.
류태웅 기자 bigheroryu@etnews.com
우드매킨지, 에너지 시장 분석
-
류태웅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