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게임이 변하고 있다. 체제 선전, 홍보 목적이 강했던 게임에서 단순 유희 차원 게임으로 진화한다. PC 게임을 넘어 온라인 게임, 3차원(3D) 게임, 지능형손전화기오락(스마트폰 게임)으로 범위를 확장한다. 자체 지식재산권(IP)을 활용한 게임부터 증강현실(AR) 기술에 게이미피케이션을 적용한 기능성 게임까지 등장했다.
27일 업계와 소식통에 따르면 북한 전자기술제품연구소가 개발한 유희장 전자총 오락(아케이드 건슈터) '3차원 다람이와 고슴도치'를 이달 출시했다. 자체적으로 게임 소프트웨어와 어트랙션 기재를 개발했다. 총기 반발력을 구현했다. '제법 눈맛 난다'는 평가다. 보기 좋다 혹은 감상할 곳이 많다는 뜻이다.
게임 제작에 북한 인기 IP '다람이와 고슴도치'를 사용했다. 1977년부터 2013년까지 2시즌으로 방영된 애니메이션이다. 원소스멀티유즈(OSM) 개념을 도입했다. 가방, 스티커, 우표, 장난감, 모바일 게임에 활용된다.
애니메이션 '소년장수'도 게임으로 재탄생했다. 콘솔 엑스박스 키넥트 기반 동작인식 게임 '무술시합'과 모바일 게임 '날새의 탈출'을 개발해 보급했다. 원 IP는 체제유지와 선전, 전투의식 고취에 있지만 게임은 색을 희석해 게임적 재미에 집중했다. 이외 블루투스 2인 대전을 지원하는 '배드민턴 강자대회'나 호날두를 전면에 내세운 '2019년 득점왕'과 같은 정치적 목적이 없는 게임도 근로자와 청소년을 대상으로 유통된다. 스마트폰이 확산되며 게임이 퍼진 덕이다.
북한이 생산한 스마트폰 '아리랑 151'에는 '자동차경주' '바둑수풀이' '실매듭풀기' '오토바이 경주' 등 다양한 게임이 내장됐다. '평양 2418'에는 '고양이의 발도장'이 구동된다. '평양 2423'에는 인트라넷 '광명망'을 기반으로 한 자체 앱마켓 '나의 길동무 4.1'이 탑재됐다. 내장 5개 게임 외에도 앱마켓을 통해 150여개 게임을 내려받을 수 있다. 대부분 유료게임이다.
기능성 게임 '신비한 주사위'와 초기 AR 기술과 게이미피케이션을 접목한 '신비한 별'도 내부 유통을 목적으로 개발됐다.
조선콤퓨터쎈터, 대영정보기술교류소, 조선선봉회사, 대동강새기술개발소, 평양프로그램센터 등이 대학과 연계해 게임을 개발한다. 고려투어스 같은 퍼블리셔도 있다.
업계는 북한이 게임에 관심을 두는 이유로 자체 기술을 강조함과 동시에 주민 생활 향상과 불만을 돌릴 대상이 필요하기 때문이라고 분석한다.
업계 관계자는 “2000년 초반부터 유입된 한국과 중국 상업드라마, 영화에서 게임이 노출돼 장마당 등지에서 퍼졌다”면서 “탈정치적 성향이 강한 신세대가 게임을 주로 즐긴다”고 말했다.
게임 이용 장애를 우려하는 목소리도 있다. 노동신문은 '인간의 건강을 해치는 전자오락 중독'이라는 제목으로 위험성을 지적했다.
이현수기자 hsool@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