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차정보 주변시설과 공유하면 '서울 주차난 해소에 효과'

서울 영등포구 아이파킹 AI클라우드 통합관제센터에서 원격 주차요원이 전국 2500여곳의 무인주차장 시설 관련 응대를 하고 있다. 사진은 기사와 직접 관련이 없습니다. 이동근기자 foto@etnews.com
서울 영등포구 아이파킹 AI클라우드 통합관제센터에서 원격 주차요원이 전국 2500여곳의 무인주차장 시설 관련 응대를 하고 있다. 사진은 기사와 직접 관련이 없습니다. 이동근기자 foto@etnews.com

대형 쇼핑센터, 업무 시설 등 인접한 시설들이 서로 주차정보를 실시간 공유해 빈공간을 연계·활용하면 서울 도심 주차난 해소에 효과가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주차장을 늘리지 않더라도 수요 분산을 통해 주차장 이용 편의가 높아질 수 있다는 분석이다.

서울디지털재단과 카카오모빌리티는 공동 연구한 '서울시 주차문제 해결을 위한 주차장 이용효율 향상방안'을 17일 발표했다.

지난해 카카오내비 목적지 정보 1억5000여만건과 카카오T 앱에서 수집되는 실시간 주차장 입·출차 정보를 비교해 도심 주요 시설의 주중, 주말, 시간대별 주차 수요패턴 차이를 분석했다.

내비게이션 실시간 이용 정보와 일부 주차장의 실시간 이용 정보를 동시에 활용한 주차 수요 빅데이터 분석은 국내 최초 시도다.

연구에 따르면, 서울시 주요 시설 시간대별 주차 수요 유형은 크게 여가형, 업무형, 생활형으로 도출됐다.

이를 기반으로 자동차 이용해 방문자가 많은 서울 도심 주요 지점 15곳 반경 500m 내 주차 수요 유형별 점유율을 검증했다. 그 결과 정보 공유를 통해 분산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되는 지역은 여의도역, 을지로입구역, 영등포역 일대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지역은 3개 유형 주차 수요가 비교적 골고루 분포돼있고 시간·요일에 따른 수요 변화도 큰 편으로 나타났다. 주차장에 차량이 몰리는 시간대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하면 비어있는 주차장을 연계해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여의도역의 경우 유형별 주차 수요 점유율이 여가형 21.0%, 업무형 42.7%, 생활형 36.3%로, 주차 수요가 고르게 나타났다.

예컨대, 을지로입구역 일대 경우 백화점을 이용하려는 차량으로 주말에 주차 수요가 높다. 반면 주변 대형 회사 건물 주차장은 주말에는 주로 비어있다. 이때 주말 백화점 이용 차량이 주변 회사 건물을 이용할 수 있도록 주차장 정보를 공유한다면 백화점으로 몰리는 주차 수요를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지역마다 기대효과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례로 서울고속버스터미널과 같이 인근에 주차장은 고루 분포돼 있지만, 특정 유형(생활형 78.8%)에 주차 수요가 편중됐다. 나머지 업무·여가형의 시간·요일별 주차 수요 차이가 크지 않은 지역은 수요분산 효과가 미미할 것으로 분석됐다.

서울 영등포구 아이파킹 AI클라우드 통합관제센터에서 원격 주차요원이 전국 2500여곳의 무인주차장 시설 관련 응대를 하고 있다. 사진은 기사와 직접 관련이 없습니다. 이동근기자 foto@etnews.com
서울 영등포구 아이파킹 AI클라우드 통합관제센터에서 원격 주차요원이 전국 2500여곳의 무인주차장 시설 관련 응대를 하고 있다. 사진은 기사와 직접 관련이 없습니다. 이동근기자 foto@etnews.com

김시소기자 siso@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