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S·포스코 대기업마저...'中 전기차 국내유통' 가세

GS글로벌, BYD 전기버스 6대 확보
포스코인터내셔널, 지리차 총판 협약
韓 배터리 차량 中 역차별 받는 상황서
中企 위주 시장 '생태계 교란' 우려 시선

GS와 포스코 등 대기업이 중국산 전기 상용차(트럭·버스)의 국내 유통사업에 뛰어들었다.

중국 정부가 한국 배터리를 장착한 전기차를 자국의 보조금 지원 대상에서 사실상 제한하는 상황에서 대기업들이 중국산 전기 상용차 수입에 나서며 곱지 않은 눈총을 받고 있다.

현재 전기트럭(1톤 기준)과 전기버스에는 대당 수천만원에서 최대 3억원까지의 국가 보조금이 투입된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올해 초 중국 비야디(BYD)와 전기 상용차(전기버스·전기트럭) 총판 계약을 맺은 GS글로벌이 각종 인증서 대리인 변경 등 국내 판매 작업에 착수했다.

GS글로벌은 이미 사전 영업을 통해 서울시의 올해 하반기 전기버스 물량을 최소 6대 확보한 상태다. 최종 공급까지 완료한다면 BYD 전기버스가 국내 노선용 버스에 투입되는 첫 사례이면서 중국산 리튬인산철(LFP) 배터리를 장착한 국내 유일 전기버스가 된다.

포스코인터내셔널도 지난해 말 중국 지리상용차 및 국내 차량 판매망을 갖춘 큐로와 총판 협약을 맺고 우선 지리차의 전기트럭 'e200' 판매에 나설 방침이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국산 배터리 채용과 향후 해외 판매까지 고려하고 있다며 조심스러운 입장을 보였다.

중국산 전기 상용차 국내 유통이 공식적으로 문제될 것은 없지만 대기업까지 국가 보조금에 의존하는 시장에 뛰어들었다는 점에서 업계의 시선이 곱지 않다. 특히 최근 극히 일부에 대한 제한이 풀리기는 했지만 여전히 국내 기업의 배터리 장착 차량이 중국 내에서 역차별을 받는 상황이 5년째 이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국내 상용차 업체 한 대표는 “현대차·자일대우를 제외하고 3~4곳이 전부 중소기업 시장에 대기업까지 나서서 중국산 차량을 수입, 공급에 나서면 시장 생태계가 무너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서울 경인로에서 운행 중인 현대차의 전기버스 일렉시티.
서울 경인로에서 운행 중인 현대차의 전기버스 일렉시티.

현재 국가 보조금 자격을 획득해 국내에서 판매되고 있는 전기버스(대형)는 총 44종이다. 이 가운데 BYD, 포톤, 북경모터스 등 중국산 차종이 29종을 차지하고 있다. 현대차를 포함해 에디슨모터스, 우진산전, 자일대우버스 등 국산 차종은 15종에 불과하다. 최근 3년 동안 정부가 집행한 전기버스 구매 보조금은 800억원 규모다. 이 가운데 중국산 차량에 지급된 국가 예산은 250억~300억원으로 추정된다.

특히 올해 전기버스와 전기트럭 판매량은 100% 이상 증가했다. 전 세계에서 국가 보조금을 가장 많이 지원하면서 전기 상용차 판매량이 급증한 것으로 풀이된다.

현재 전기트럭(1톤 기준)에는 2400만~2600만원, 전기버스(대형·저상 기준)에는 환경부·국토부와 지방자치단체 보조금을 합치면 2억~3억원 지원되고 있다.

포스코인터내셔널 관계자는 “우리는 단순히 중국 전기차를 가져와 판매하는 것이 아니라 중소기업인 큐로와 함께 국산 배터리시스템 등을 적용해 한국화하고, 향후 수출까지 진행할 목적으로 중국 지리차와 협약한 것”이라면서 “다른 중국차 수입 사례와는 다른 형태”라고 말했다.

한편 현재 중국 공업정보화부의 '신재생에너지차 보급응용추천 목록'에는 한국산 배터리를 장착한 전기차는 테슬라 '모델3'(LG화학), 베이징모터스 아크폭스(ARCFOX) '마크5'(SK이노베이션), 충칭진캉 '세레스 SF5'(삼성SDI) 3종뿐이다.

박태준기자 gaius@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