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 부총리 "미래형 교육과정과 미래형 학교 구축"...10대 정책과제 발굴

유은혜 부총리가 출입기자단 간담회에서 정책 방향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유은혜 부총리가 출입기자단 간담회에서 정책 방향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정부가 내년 공교육 혁신 모델발굴을 위해 마을학교 연계 프로젝트형 학기제 등 '미래형 혁신학교' 103개교를 선정한다. 원격수업을 자유자재로 활용할 수 있도록 원격교육기본법과 교육정보화진흥법 제정도 추진한다. 한국형온라인공개강좌(K-MOOC) 플랫폼도 고도화한다.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출입기자단 간담회를 갖고 '코로나 이후, 미래교육 전환을 위한 10대 정책과제(안)'를 발표했다. 교사·학부모 등을 만나 안을 정리하고 내년 교육부 업무보고에도 반영할 예정이다.

10대 과제는 △미래형 교육과정 △새로운 교원제도 △학생이 주인 되는 미래형 학교 △학생 성장을 지원하는 교육안전망 구축 △협업·공유를 통한 대학·지역사회 성장 지원 △미래사회 핵심 인재 양성 △고등 직업교육 내실화 △전 생애 학습권 보장 △디지털 전환에 대응한 교육기반 △미래형 교육 협력 거버넌스 개편 등이 포함됐다.

교육부는 2022년 개정 교육과정을 추진한다. 올해 기초 연구를 바탕으로 내년에 주요 개정사항을 발표하고 2022년 고시를 거쳐 2024년 초등학교부터 적용한다. 오는 2025년 고교학점제 전면 도입을 앞두고 다음달 기본계획을 마련한다.

미래형 교사 직무 분석을 통해 교사 직무를 재구조화하고 교원 인사제도와 수급정책에 반영한다. AI 활용 교육, 콘텐츠 개발 담당교원, 고교학점제 학습상담교원 등이 포함될 전망이다.

민주적 학교 모델과 새로운 학교 모델도 구현한다. 창의적 교육과정과 공간혁신, 지역 연계, 에듀테크 활용 등 성과를 거둔 혁신학교의 성과 위에 공교육을 혁신하는 모델학교 수행도 지원한다. 그린스마트미래학교 사업을 통해 미래교육을 위한 환경도 구축한다.

원격수업 제한 등 규제를 풀고 자율적 운영을 허용한다. 대학간 공동교육과정을 추진하고 권역 내 대학 간 복수·공동학위도 활성화한다. 유학생 유치 다변화를 위해 온라인 석사과정과 오프라인 학사 과정을 융합하는 등 다양한 학사 운영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지자체와 대학, 산업이 협업하는 지역혁신 플랫폼을 2024년엔 비수도권 전역으로 확대한다.

석박사급 고급인재 양성과 대학 연구기반 강화 근거도 마련한다. 내년 학술진흥법을 개정해 인문사회 분야에서는 순수학문 연구와 사회 당면 과제의 인문사회학적 해결방안을 모색하는 연구소를 지원한다. 이공분야에서는 대학중점연구소, 핵심연구지원센터 등 대학별 특성에 맞는 전문 연구거점을 구축한다.

디지털 전환에 대응해 초중고에서는 K-에듀 통합플랫폼을 2022년까지 구축한다. K-MOOC 플랫폼은 AI·빅데이터 기반 맞춤형 서비스는 물론 가상실습까지 가능하도록 추진한다.

교육행정 과학화를 위해 빅데이터 분석 체계도 마련한다. 각 기관별 교육 관련 데이터를 행정에 활용할 수 있도록 2022년까지 메타데이터 관리체계도 수립한다.

유은혜 부총리는 “대입 중심 교육 패러다임을 바꾸는 게 가장 어려운데 코로나19를 계기로 그린스마트 학교 환경 구축과 더불어서 미래역량을 갖출 수 있는 교육과정을 추진할 수 있게 됐다”고 강조했다.

유은혜 부총리가 출입기자단 간담회에서 정책 방향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유은혜 부총리가 출입기자단 간담회에서 정책 방향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문보경기자 okmu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