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분석]신규 창업도 제조업 기피 현상 만연...제조벤처창업 특단 대책 시급

신규 창업 동향을 살펴봐도 제조업 기피 현상은 여실히 드러난다. 중소벤처기업부가 앞서 발표한 '2020년 상반기 창업기업 동향 발표'에 따르면 제조업 창업은 2만5402개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8.8% 줄었다. 올해 상반기 전체 기술창업 수가 11만6280개로 전년 동기 대비 2.5% 성장한 것과는 정반대 결과다.

제조업 가운데서도 전기·전자(-8.2%), 고무·화학(-9.5%), 자동차·운송장비(-11.7%) 분야 창업이 크게 줄었다. 지난해부터 이어진 업황 부진에 코로나19 확산으로 경영환경 불확실성이 심화된 것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제조업은 일자리 창출 효과가 크기 때문에 산업 위축 시 대규모 실직으로 이어진다. 제조업과 연관된 물류 및 도소매 영역 일자리까지 연쇄 효과를 낸다.

고용노동부가 지난달 발표한 사업체노동력조사 통계를 살펴보면 올해 8월 기준 1인 이상 사업체 종사자 수는 1851만9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9만명(0.5%) 감소했다. 제조업종 종사자 감소 수는 7만7000명에 이른다. 숙박 및 음식점업(15만1000명) 다음으로 많은 수가 줄었다.

각국 정부는 제조분야 창업을 지원하기 위해 다양한 지원책을 내놓고 있다. 미국 트럼프 정부는 첨단제조 파트너십을 기조로 미국 중심의 글로벌가치사슬(GVC) 및 제조기지 구축에 역점을 두고 정책을 펴고 있다. 연구개발(R&D)과 제조를 이어 병행설계해 하드웨어(HW) 신제품 출시 기간을 크게 단축하는 데 방점을 둔다. 올해 코로나19 확산으로 GVC 취약점이 드러나자 첨단 제조업계 리쇼어링 추진 전략을 제시해 대응 중이다.

제조업 공금망 자금지원 정책도 활발하다. 중요물품 공급망 구축기업의 자금융자 행정명령을 확대하고 세제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 전용기금 마련을 통해 초기 리쇼어링 비용도 지원한다.

반면 국내 제조분야 창업 지원책은 아직 마땅한 것이 없다. 중기부는 연구용역을 통해 제조 분야 스타트업에 적합한 업종을 맞춤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을 조만간 도출한다는 계획이다. 소부장 스타트업100 등 유망 제조 벤처기업 발굴도 함께 추진한다.

업계 관계자는 “기술 기반 스타트업이 창업을 하더라도 정작 시제품 제작 이후 생산자주문방식(OEM)으로 양산을 맡길 국내 제조업체가 없어 결국 중국 기업을 찾아볼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면서 “생산 시설을 직접 갖추기에는 워낙 규제가 많아 제조역량 확보는 우선순위에서 밀릴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스마트공장 보급과 확산을 통해 기존 제조기업 경쟁력을 확보한다는 계획도 아직 궤도에 오르지 못한 분위기다. 중소기업 상당수가 스마트공장으로 생산설비 전환에 따른 이득을 체감하지 못하고 있어서다. 중소기업계 관계자는 “창업과 투자 등 모든 측면에서 전통 제조업에 대한 지원은 아직 갈 길이 멀다”면서 “제조업 활성화를 위한 장기 시각의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유근일기자 ryuryu@etnews.com, 이형두기자 dudu@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