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분석]드론 국산화 속도내는 美·日…韓, 핵심 기술력 확보가 먼저

[이슈분석]드론 국산화 속도내는 美·日…韓, 핵심 기술력 확보가 먼저

글로벌 드론 산업은 현재 중국이 주도하고 있다. 군용 드론에서 출발한 중국 드론 산업은 기술력이 성숙 단계에 진입하며 응용 범위가 민용으로 빠르게 확대 중이다. 2019년 기준 중국 드론 생산기업은 1353개, 등록 드론 대수는 약 33만대에 달한다. 중국 드론 업체 DJI는 취미·촬영용 시장 선점을 기반으로 감시·농업 분야 시장까지 선도하고 있다. 글로벌 민간용 드론 시장 기준 점유율 70% 이상 점유율을 차지한다.

국내에서는 2017년부터 정부 차원에서 '혁신 성장 8대 핵심 사업'으로 지정, 이제 드론 산업에 대응하지만 초기 단계다. 아직 드론관련 특허 중 한국의 비중은 2018년 기준 7%로, 미국 28%, 중국 14% 등 주요국보다 낮다. 핵심 부품 기술력도 뒤떨어진다.

과학기술일자리진흥원 분석에 따르면 2019년 기준 민수용 드론 기술 수준은 핵심 부품 기준 선진국 대비 약 10~50%p 격차가 존재한다. 스마트폰과 공통으로 사용되는 부품(AP, 배터리, 디스플레이, 소프트웨어)의 경우 세계적 수준으로 평가되지만, 전체적인 하드웨어 기술이 군수용·공공목적용 개발에 치중돼 있고, 경쟁력 있는 소형 드론 핵심기술 개발사례가 적다.

국내 드론 생산규모가 미미하고 성장성 측면에서 취약하다는 점이 원인으로 지적된다. 글로벌 드론산업 연평균 성장률이 약 69%에 달하는 데 비해 국내 드론산업 성장률은 2.1% 수준인데다, 생산 규모 역시 글로벌 전체에서 2.1%에 불과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현재 수입 조달되고 있는 내수시장 대체를 통해 생산규모 및 경쟁력을 향상시키고, 핵심부품 국산화 및 전문 부품 기업 육성이 가장 시급한 과제로 제시된다.

[이슈분석]드론 국산화 속도내는 美·日…韓, 핵심 기술력 확보가 먼저

◇ 드론 국산화 속도내는 美·日…중국 드론 규제 가속

일본과 미국 정부는 중국산 드론 사용시 공공부문에서 안보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하고 비중을 지속적으로 감축하고 있다. 중국 당국이 보안 결함을 악용해 개인정보 수집 등 국가 안보 위협을 가할 수 있다고 본다. 실제로 올해 5월 미국 디지털 보안업체 리버르프시큐리티가 발표한 보고서에 의해 DJI가 사용자 동의 없이 중국 서버에 안전하지 않은 정보를 전송했으며, 자사 애플리케이션 약관에 중공 정부와 사용자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고 명시하는 등 보안 우려가 사실로 밝혀졌다.

미국은 2019년부터 중국산 드론을 규제하고 자국 업체를 육성하기 위해 20개 이상을 발의, 정부 기관의 중국산 드론 사용 금지를 의무화했다. 상·하원에 발의된 '2019 미국 보안 드론법'에 연방·주 지방 각급 정부의 중국산 드론 구매를 막고 현재 사용 중인 중국산 드론 퇴출 계획을 세우도록 하는 내용을 담았다. 올해 8월 미국 국방부는 향후 군사시설과 연방기관에서 사용할 드론 기기 입찰 자격을 미국 드론 제조업체 4곳과 프랑스 기업 1곳에 제한하기도 했다.

일본정부는 내년 4월부터인 2021 회계연도에 국방과 인프라등에 쓰이는 드론에 대한 보안대책을 강화하겠다고 발표했다. 일본 정부 모든 부처는 드론을 새로 구매할 때 계획서를 내고 심사를 받아야 한다. 드론 구매 시 운항기록과 촬영한 사진 등에 대한 외부 유출 방지 기능이 있는 제품을 채택해야 한다. 무역 분쟁을 우려해 중국산을 배제하겠다고 명시하지는 않았지만, 현지 언론은 사실상 중국 드론을 겨냥한 조치라는 해석을 내놓고 있다.

일본의 경우 대기업 소니가 이달 '에어피크' 브랜드를 통해 드론 시장에 진출한다고 발표하면서 국산화 기대감이 커지는 상황이다. 전문가용 제품은 내년 봄에 첫 출시될 예정이다. 소니는 기술 개발에 대규모 자본을 투입할 여력이 있고, 이미지센서를 포함 핵심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어 시장에 미칠 파급력이 크다고 분석된다. 특히 엔터테인먼트와 영상 촬영 등 산업에서 자국 내 수요를 창출할 것으로 관측된다.

◇ 韓 공공활용 드론마저 중국산…핵심 기술력 확보 정부 지원 시급

국내의 경우 정부 공공드론 국산화 정책 추진에도 불구하고 아직 중국 드론 비중이 높다. 국회국토교통위원회 소속 강준현 의원이 국토교통부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2월 기준 지자체가 보유한 드론 중 약 10%만 국산이다. 전체 공공기관 및 국토부 산하 공공기관 국산 드론 비중도 각각 26.3%, 40.0% 수준이다.

중국 부품을 재조립한 '위장 국산'을 제외하면 실질 국산화 비율은 30% 이하로 떨어진다는 지적도 여러 차례 제기되고 있다. 위장 국산은 실질적 국산화 효과가 적을 뿐만 아니라, 단가 절감을 위해 여러 중국 제조업체의 부품을 취합해 조립하는 경우가 많아 비행 안정성 측면에서도 성능이 떨어진다는 평가다.

드론업계 관계자는 “정부기관이 의무적으로 구입한 위장국산 드론은 안정성 문제 때문에 현장에서 사용되지 않고 창고에만 방치된 경우도 부지기수”라며 “국내 드론 산업도 정부가 공공 수요 구매 유도만 하지 말고, 산학연 연계 등을 통해 FC(비행제어장치)와 핵심 부품의 원천기술을 가진 업체를 집중 육성하는 방안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이형두기자 dudu@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