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분석] 정부, 에너지전환 핵심 '해상 그린에너지' 키운다

제주 탐라해상풍력단지 <자료 남동발전>
제주 탐라해상풍력단지 <자료 남동발전>

우리 정부는 해상풍력과 수상태양광 등 해상 그린에너지를 에너지전환 정책의 핵심으로 꼽고 있다. 해상풍력과 수상태양광은 육상풍력·태양광과 비교해 입지 확보가 쉽기 때문에 대규모 발전을 확보할 수 있다. 세계적으로도 잠재력이 풍부한 시장인 만큼 선제적으로 산업 경쟁력을 갖추는 것이 중요하다고 본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 7월 발표한 '해상풍력 발전방안'에 따라 2030년까지 해상풍력 12GW를 준공할 예정이다. 세계 5대 해상풍력 강국으로 성장하기 위해 입지를 발굴하고 해상풍력에 적합한 지원 시스템을 차근차근 구축한다는 구상이다.

산업부는 대규모 프로젝트 위주로 해상풍력을 연계해 확대할 계획이다. 구체적으로는 △전북 서남권 해상풍력(2.4GW) △신안 해상풍력(8.2GW) △울산(1.4GW)·동남권(4.6GW) 부유식 해상풍력 △제주(0.6GW)·인천(0.6GW)·기타 프로젝트로 구성했다.

대규모 해상풍력 중 가장 앞서서 착공될 풍력은 전북 서남권 해상풍력이다. 정부는 2022년부터 서남권 해상풍력 2.4GW를 단계적으로 착공할 계획이다. 2022년 착공을 시작해, 2028년까지 최종 준공한다.

신안 해상풍력은 2023년부터 착공에 돌입한다. 이중 한화와 SK E&S, 압해, 윈원드, 어의 등 민간발전사가 추진하고 있는 0.6GW 사업은 내년 착공에 돌입한다. 지자체 주도로 시행하는 3.5GW는 2023년부터 단계적으로 착공한다. 남은 4.1GW 사업은 적합한 부지를 발굴하고, 타당성 조사를 거쳐 2026년부터 추진할 예정이다.

울산과 동남권에서는 부유식 해상풍력 건설을 추진한다. 부유식 해상풍력은 바다에 부유체를 띄우고 그 위에 풍력발전기를 올려서 발전하는 방법이다. 육지와 멀리 떨어진 바다에 있는 양질 바람을 활용할 수 있다. 울산시는 200㎿ 규모 부유식 해상풍력을 자체 개발하고, 이외에는 국내외 민간 투자사와 함께 만든다. 또 4.6GW 규모로 부유식 해상풍력단지 조성도 추진한다.

합천댐 수상태양광 패널 <자료 한국수자원공사>
합천댐 수상태양광 패널 <자료 한국수자원공사>

이외 제주와 인천에서도 해상풍력이 다수 추진된다. 한림 해상풍력(100㎿)을 시작으로 대정(100㎿), 평대·한동(105㎿), 월정행원(125㎿), 표선세화(135㎿) 등 주요 프로젝트가 2023년까지 착공한다.

해상풍력은 바다에 풍력발전단지를 건설해 발전하는 방식이다. 기초구조물 설치 방식에 따라 고정식·부유식으로 구분한다. 육상풍력과 비교해 입지제약에서 자유롭고, 대형 발전설비를 구축할 수 있다.

정부는 '에너지전환 3020' 정책에 따라 수상태양광 확대도 꾀한다. 2019년 세계 최대 수준인 2.1GW 규모 새만금 수상태양광 발전사업을 허가한 것이 대표 예다. 이외 합천댐 등 저수지 등에서 다양한 형태 수상태양광을 확보해 수면 유휴부지 활용을 극대화한다.

산업부 관계자는 “수상태양광이 전체 태양광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지 않지만 영농형 태양광과 더불어 유휴부지를 활용할 수 있는 좋은 방안”이라면서 “새만금 수상태양광 외에도 수자원공사 등에서도 합천댐에 수상태양광을 구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변상근기자 sgbyu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