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전 사고에 로봇 투입…원자력硏, 무인방재 시스템 구축

한국원자력연구원(원장 박원석)은 자체 개발한 원자력 로봇으로 원자력 사고에 대응하는 무인 방재 시스템을 갖췄다고 7일 밝혔다.

원자력연은 실내 모니터링 로봇 '티램(TRAM)', 실외 모니터링 로봇 '램(RAM)', 사고대응 로봇 '암스트롱(ARMstrong)', 공중 방사선 모니터링 드론으로 로봇 방재 체계를 구성했다.

티램은 방사선, 온도 탐지기를 탑재하고 계단과 장애물을 넘으며 이동한다. 본체 높이가 30㎝에 불과한 소형 장갑차 형태다. 사고 현장의 방사선량, 열화상 정보와 3D 지도를 실시간으로 작성, 외부로 송신할 수 있다.

실내 모니터링로봇 티램이 계단을 올라가며 360도 현장 상황을 촬영하고 있다.
실내 모니터링로봇 티램이 계단을 올라가며 360도 현장 상황을 촬영하고 있다.

램은 상용 전지형 만능차(ATV)를 원격 조종, 방사선 탐지 장비 등을 싣고 시속 60㎞ 속도로 고속 주행할 수 있다. 공중 모니터링 드론을 조합해 지상과 공중 다각도에서 현장 관측과 방사선 오염지도 작성이 가능하다.

암스트롱은 유압시스템을 적용해 양 팔로 총 200㎏ 하중 물건을 자유롭게 움직이고 무한궤도로 험지 이동이 가능하다. 무거운 콘크리트나 폐기물 드럼을 옮기고 소화수를 분사하거나 잔해물 처리, 밸브 조작이 필요하다. 사람 팔 모양의 '마스터 디바이스'를 움직이면 암스트롱 팔도 똑같이 움직이는 방식으로, 고중량 파이프를 조립하거나 랜 커넥터를 꽂는 섬세한 작업도 가능하다.

최근에는 실제 방재훈련에 참여하며 실효성도 입증했다.

원자력연은 방사선 비상대책 실효성을 검증하기 위해 매년 2회 이상 다양한 시나리오의 방사능 방재훈련을 실시하고 있다. 2016년부터 6차례에 걸쳐 실효성을 검증하고 로봇을 보완해왔다.

지난 8월, 10월 훈련에서는 티램 로봇이 건물 내부로 진입해 현장 상황을 상황실로 전송하고, 암스트롱이 우레탄 폼을 분사해 방사성 물질이 누출되는 건물 출입구를 밀봉하는 작업을 성공적으로 완수했다.

암스트롱 로봇이 차폐막을설치하고 있다.
암스트롱 로봇이 차폐막을설치하고 있다.

암스트롱의 방사성 물질 밀봉 훈련은 해외에서도 시도해 본 적 없는 새로운 것으로, 우리의 우수한 기술력을 확인하는 계기가 됐다.

정경민 로봇응용연구부장은 “연구원 자체 로봇 방재시스템 구축은 1단계 시작에 불과하다”며 “지속적인 보완을 통해 만일의 사고에도 국민들이 안심할 수 있는 만반의 태세를 갖추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박진호 원자력안전연구소장은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적극적으로 접목해 우리 로봇이 국가적 대응 체계를 지원할 수 있는 2단계, 해외 방재기관과의 국제 공조체계를 확고히 구축하는 3단계까지 완성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 하겠다”고 밝혔다.

대전=김영준기자 kyj85@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