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와 베트남·중국 등 아시아 역내 개발도상국들과의 '산업 내 무역' 의존도가 높아지고 있어 글로벌 공급망 안정화 전략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은 최근 '우리나라의 산업 내 무역 현황과 공급망 관리 전략'을 발표하고 이 같이 지적했다.
이번 발표에 따르면 한국의 산업 내 무역 의존도는 작년 기준 전체 수출 42.7%다. 2008년 31.8% 이후 꾸준히 상승하고 있다.
산업 내 무역은 같은 산업군에서 유사한 재화 수출입이 동시에 이뤄지는 현상이다. 우리나라가 중국에 반도체를 수출하는 동시에 수입하는 것이 대표 사례다. 산업 내 무역이 확대되면 해외시장의 변화가 국내 시장에 빠르게 반영되기 때문에 공급망 관리가 중요해진다.
중국·미국·일본·베트남 등 4개국 간 교역에서 산업 내 무역 의존도는 중국(39.6%), 일본(32.8%), 베트남(25.1%), 미국(20.7%)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2012년부터 2019년까지 베트남·중국과의 산업 내 무역 의존도가 각각 16.8%포인트(P), 8.9%P 급증했다.
보고서는 “베트남·중국과의 산업 내 무역은 주로 첨단기술의 전자통신 업종을 중심으로 크게 확대됐다”면서 “주로 우리나라가 양국에서 저단가 제품을 수입하고 고가 제품을 수출하는 추세”라고 설명했다.
강성은 무협 국제무역통상연구원 연구원은 “산업 내 무역 의존도가 큰 만큼 공급망 리스크가 확대될 수 있다”면서 “면밀한 모니터링과 공급망 안정화를 위한 다양한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윤희석기자 pioneer@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