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가두리 지자체'로는 스마트시티 어렵다

최근 첫 지방자치단체 공급 실적을 올린 중소 스마트시티 솔루션 업체 A사. 기쁨은 이루 말할 수 없었다. 공급 사례가 생겼으니 다른 지역으로도 확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그런데 해당 기초지자체는 거의 시스템통합(SI) 수준의 맞춤형 구축을 원했다. A사는 해당 사업의 적자가 너무 심해 앞으로 지자체 공급을 계속해야 할지 고민에 빠졌다.

스마트시티 확산 정책으로 시장이 만개했다. 전국 광역지자체는 물론 기초지자체도 스마트시티 전담 조직을 꾸리고 앞 다퉈 스마트시티를 구현하고 있다. 정보통신기술(ICT)과 혁신 기술로 교통·방범·화재 등 도시 문제를 시민과 함께 해결하는 스마트시티를 추진하지 않는 지자체가 없을 정도다. 국토교통부가 지원하는 스마트 챌린지에 선정된 지자체는 기업·시민과 하나가 돼 솔루션 개선 및 구축에 한창이다.

그러나 우려되는 점도 하나둘 나타나고 있다. 차이가 벌써 보인다. 지역에 '올인'할 것을 요구하는 곳과 다른 지역으로 공급을 확대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곳의 차이다. 지금은 그리 크지 않지만 구축 사업이 끝난 후에는 엄청난 차이로 나타날 수밖에 없다.

이유는 이렇다. 스마트시티는 일회성 건설사업과 다르다. 지자체 중심으로 시민과 민간이 끊임없이 소통하고 솔루션을 유지·발전시켜야 스마트시티 의미가 있다. 이를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이 생태계다. 규모의 경제로 이익이 나와야 유지·보수가 가능하다. 기술도 여러 측면을 살펴봐야 발전한다. 한 지자체가 수많은 기업의 수익을 다 보장해 줄 수는 없는 노릇이다. 기업이 지자체 레퍼런스를 발판으로 밖으로 더 커 나가도록 도와야 일자리 창출로도 이어진다.

업계는 무리하게 요구하는 지자체를 양식장에 비유해 '가두리친다'고 표현한다. 나가지 못하게 막으면서 먹고살 정도의 먹이는 주지만 그걸로 끝이다. 고립된 곳에서는 발전이 없다.

문득 독수리 둥지가 떠오른다. 독수리는 새끼가 어느 정도 크면 새끼를 둥지 밖으로 나가도록 한다. 나가지 않으면 둥지를 돌 같은 것으로 뾰족하게 만든다고 한다. 새끼가 자연 생태계에 경쟁하고 적응하면서 강하게 크기를 원하기 때문이다.

스마트시티는 이제 시작이다. 생태계를 키워야 함께 발전함을 잊지 말자.

[기자수첩]'가두리 지자체'로는 스마트시티 어렵다

문보경기자 okmu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