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새해엔 강한 야당 볼 수 있을까

김종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김종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국민의힘이 새해에 변모할 수 있을까.

희망은 큰 것 같지 않아 보인다. 당의 체질을 바꾸기 위해 연일 김종인 비상대책위원장 홀로 뛰고 있다. 구속된 이명박·박근혜 전직 대통령을 두고 죄송하다며 고개를 숙인 것은 김 위원장 한 명뿐이었다. 김 위원장의 사과가 국민의힘 전체를 대표하는 사과로 보이지 않는다.

국민의힘은 기득권을 버리지 못했다. 더불어민주당의 한 의원은 “21대 총선에서 국민의힘이 이긴 지역구를 보면 서울 강남3구나 경상도 같은 뿌리 깊은 지지 기반인 곳”이라면서 “의원들이 당은 어떻게 되든지 다음 번 총선에서도 본인은 살아남는다는 생각을 하고 있는 것 같다”고 지적했다. 전투력 없는 야당의 모습을 분석한 말이다.

국정감사도 코로나19로 쉽지 않았지만 역시나 '맹탕'으로 흘러갔다. 또 다른 여당 의원은 “야당에서 공격하면 어떻게 방어할지 '조'까지 짜며 싸울 태세를 하고 있었는데 아무도 공격하지 않았다”면서 “야당은 한 명이 공격하면 그걸 뒤에서 누가 받아 주는 게 아니라 그냥 거기서 끝내고 다른 이슈로 넘어간다”고 말했다. 이 의원은 “야당은 본래 '월·금요일'이 언론의 주목도 등 전투력이 가장 높은 때라 그때에 맞춰 국감을 하려 하는데 이번에는 모두 지역에 내려가야 한다”면서 “'화·수·목'이 아니면 안 된다더라”고 덧붙였다. 전략 없는 야당의 한계를 잘 드러내는 대목이다.

국감이 맥없이 끝난 후 야당은 민주당의 연이은 '입법 독주'에 어떤 브레이크도 걸지 못했다. 경제3법·공수처법 등이 속전속결로 통과됐고, 야당은 존재감을 보이지 못했다.

'야당 스피커'도 뚜렷이 보이지 않았다. 그나마 윤희숙 의원이 '저는 임차인입니다'로 부동산 문제를 지적하며 떠올랐다. 그 외에 이렇다 할 스피커가 없다 보니 야당의 빈 목소리를 채우는 사람은 진중권·서민 교수 등 바깥 사람들뿐이다.

최근 야당 지지율이 오르는 것은 정부와 민주당의 실책 등에 따른 반사 지지율 공산이 높다. 이 와중에도 조금 오른 지지율에 취해 대안 세력이 되지 못한다면 서울시장 선거 역시 패배밖에는 얻을 것이 없을 것이다. 김 위원장은 계속해서 “정당 뿌리부터 개조하고 인적 쇄신을 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강한 야당으로 다시 태어나야 한다.

송혜영기자 hybrid@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