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대 청년들은 21대 국회 최우선 입법 과제로 '경제 활력 진작'을 꼽았다.
대한상공회의소는 19일 전국 20대 청년 300여명을 대상으로 '21대 국회 입법 방향'이라는 주제의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청년들은 10명 중 4명이 최우선 입법과제로 '경제 활력 진작'(42.5%)을 택했다.
지난해 국회 입법 활동이 많았던 '근로자·소비자 권익 증진(26.0%)' '소외계층 복지 증진'(15.3%) '기업지배구조 개선·상거래 관행 개선'(13.5%) 등은 경제 활력보다 상대적으로 후순위였다.
대한상의는 “국회에서 경제 활력 진작과 관련한 입법 활동은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지원에 그쳤고 서비스산업 발전과 혁신 지원 등 중요 법안들 처리는 계속 지연됐다”고 밝혔다. 특히 △감사위원 선출 시 최대주주 의결권 제한(상법) △기업 간 협업거래 규제강화(공정거래법) △사업주 처벌강화(중대재해처벌법) △해고자 노조가입 허용(노동조합법) 등 경제 활력을 위축시킬 수 있는 법안들이 다수 통과됐다고 지적했다.
청년 중 94.8%(복수응답)는 현행 법체계가 4차 산업혁명 등 시대변화를 반영하지 못하는 낡은 법체계라고 인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신사업을 제약하는 포지티브형 허가 방식(88.7%), 자율규범에 맡길 사항도 규제(85.3%), 모범 기업도 획일적 규제(73.1%) 등도 높은 공감을 받았다.
경제·사회 문제에 대한 해법을 두고도 국회 입법 활동과 미래 세대 인식은 차이가 있었다.
청년들로부터는 기존 제도를 엄격하게 집행한 후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는 입법을 논의해야 한다는 응답은 53.2%였다. 신규 입법으로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응답(46.8%)보다 높았다. 그러나 국회는 충분한 논의 없이 중대재해처벌법을 제정하는 신규 입법으로 대응했다고 대한상의는 지적했다.
청년 82.4%는 새 제도를 도입할 때 해외사례를 검토하고 부작용이 없는 대안을 선택해야 한다는 반응을 보였다. 기업지배구조 개선 해법에 대해서도 80.7%가 감시·감독 강화와 엄격한 법 집행을 병행해야 한다고 답했다.
새 제도를 신설·강화할 필요가 있다는 응답은 19.3%에 그쳤다.
노동조합 관련 제도에 대해서도 청년 57.5%가 글로벌 기준에 허용되는 행위와 불허되는 행위 모두를 글로벌 기준에 맞게 정비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응답했다.
대한상의는 이번 조사를 지난해 12월7일부터 14일까지 전국 20대 청년 300명을 대상으로 전화·온라인으로 실시했다.
대한상의는 국회의 입법 활동이 국민의 기대에 부응하는지 계속 지켜볼 계획이다. 국회 입법에 대한 인식 조사를 30·40대까지 확대하고 필요하면 매년 정기적으로 실시한다.
박소라기자 srpark@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