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9년간 원예작물의 국산화율이 높아지면서 품종보호권 관련 로열티 지급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장미·딸기 등 일부 국내 품종들은 해외에서 사용료를 거둬들였다.
농촌진흥청은 지난해까지 9년간 원예작물 4분야 13작목의 국산화율은 10.5% 증가했고, 사용료 지급액은 45%인 78억6000만원 감소했다고 밝혔다.
채소·화훼·과수·버섯 등 4개 분야 딸기·양파·장미·국화·난·카네이션·거베라·포인세티아·키위·감귤·블루베리·체리·버섯 등 13개 작목 평균 국산화율이 2012년 17.9%에서 2020년 28.4%로 올랐다. 특히, 딸기 국산화율은 2012년 74.5%에서 2020년 96.0%까지 오르면서 일본산 딸기는 국내에서 사실상 자취를 감췄다.
크리스마스 꽃으로 널리 알려진 포인세티아는 '레드펄'·'레드윙'·'레드볼' 등으로 품종 개발을 통해 국산화율이 2012년 12%에서 2020년 40.8%로 가장 큰 상승세를 보였다.
버섯 국산화율도 꾸준히 올라 2012년 44.6%에서 2020년 58.5%를 기록해 올해 60% 달성을 눈앞에 뒀다.
국산화율 상승으로 사용료 지급액도 꾸준한 감소 추세다. 2012년 175억 7000만원에 달했던 사용료 지급액은 2015년 123억 2000만원으로 줄었다. 지난해에는 100억원 아래로 내려가 97억1000만원을 기록했다.
국산 품종이 속속 개발되면서 해외에서 사용료를 받는 품종도 늘어났다. 최근 6년간 해외에서 사용료를 벌어들인 작물은 장미·딸기·국화·키위·이탈리안라이그라스 등 5종목 25품종으로, 금액은 약 21억 800만 원 선이다. 특히 장미는 최근 6년간 약 19억9600만원을 벌어들였다.
송금찬 연구성과관리과장은 “앞으로 생산자와 소비자가 만족하는 자료 기반 맞춤형 품종을 육성 보급하겠다”고 말했다.
이경민기자 kmle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