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첫 추가경정예산안에는 정보기술(IT) 분야 일자리창출 대책도 담겼다. 취업자 100만명 이 일자리를 잃었다. 금융위기 이후 최악 고용상황을 돌파하기 위한 조처다.
기획재정부는 추경을 통해 긴급고용대책에 총 2조8000억원에 달하는 대규모 재원을 반영하기로 했다.
긴급고용대책 쟁점은 일자리 창출이다.
안도걸 기획재정부 예산실장은 “관계기관과 전문가들 의견을 수렴, 27만5000개 일자리를 발굴했다”고 설명했다.
정부 일자리 창줄 목표치인 27만5000개 가운데 디지털 관련 일자리는 7만8000개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세부적으로 IT직무지원(5만5000개), 인공지능(AI)·바이오·중소기업 데이터 구축 등 9000개로 구성됐다. 이 밖에 비대면 분야 창업(4000개), 온라인 튜터(4000개) 등이 해당된다.
정부는 디지털 분야의 경우 온라인 튜터에 대해 직접 예시로 들었다.
안 실장은 “4000명 정도 일자리 규모로 저소득층 아동이 비대면 교육을 받는데 있어서 도움이 될 수 있는 학습 보조 역할을 한다”고 설명했다.
특히 청년층에는 디지털 분야 등에서 신규 일자리를 적극 창출하겠다는 입장이다. 20대 취업자수가 코로나19 이후 급감하면서 일자리 대책이 시급한 상황이다.
지난해 3분기 기준 20대 이하 임금근로 일자리는 8만6000개 감소했고, 30대 일자리는 6만4000개가 사라졌다.
특히 정부는 청년 고용대책으로 디지털, 문화, 체육, 관광 분야에서 일자리를 늘리기로 방향타를 잡았다.
아울러 취업지원도 신기술 분야, 즉 IT 분야에 대책이 집중됐다. K-디지털트레이닝이 대표적이다. 유망 벤처, 스타트업이 설계한 청년 특화 훈련프로그램을 정부가 보조하는 사업이다.
이 밖에 디지털 비전공 등 디지털 취약계층 기초훈련 바우처 지원 등이 포함됐다.
다만, 디지털 뉴딜 등 정부 대책에 따라 양질의 IT 등 디지털 일자리가 유지될 지에 대해선 이견도 있다.
지난해부터 정부가 발표한 '청년 디지털 일자리 사업'이 단기 계약직이고 경력으로 내세우기 어려운 단순 업무에 그친다는 지적이다.
익명의 전문가는 “정부가 디지털 일자리를 만들어 일시적인 대책을 마련할 수는 있지만 지속적인 고용효과를 견일할 지 장담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유재희기자 ryuj@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