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00억 규모 '차세대 지방행정공통시스템' 닻 올린다

역대 최대…광역·기초 자치 업무 개편
올해 예타 거쳐 2023년 본사업 발주 목표
클라우드·빅데이터 등 신기술 도입
IT서비스업계, 수주 기반 마련 분주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정부가 전국 시·도, 시·군·구 자치 업무를 뒷받침하는 '지방행정공통시스템' 차세대 프로젝트를 4300억원 규모로 추진한다. 올해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하면 오는 2023년부터 본사업을 발주한다. 공공 차세대 사업 가운데 최대 규모로 추진되는 만큼 업계의 관심이 고조될 것으로 예상된다.

25일 행정안전부 관계자는 “오는 7월 기획재정부에 예타 사전 검토를 신청해 이르면 오는 9월부터 예타 본심사에 들어갈 것”이라면서 “예타를 통과하면 내년도 본예산에 반영해 2023년부터 사업을 시작할 수 있도록 준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를 위해 행안부는 최근 업무재설계(BPR) 사업자로 솔리데오시스템즈를 선정했다.

차세대 지방행정공통시스템은 17개 광역 시·도 공무원들이 사용하는 '시도행정시스템'과 228개 시·군·구 기초단체 공무원들이 사용하는 '새올행정시스템'을 새롭게 개편하는 사업이다.

지방 행정의 핵심인 두 시스템은 2004년, 2006년 각각 개통된 후 15년 이상 업그레이드 사업이 없었다. 시스템 노후와 도입 당시 소프트웨어(SW) 기술 지원 중단 등으로 위험성이 증대한 상태다.

행안부는 지방분권 기조에 발맞춰 이를 지원하는 시스템에 클라우드, 빅데이터, 블록체인 등 신기술을 입혀 디지털 지방정부를 구현한다는 계획이다. 민원행정, 자치법규시스템, 지방행정인허가 데이터 개방 등 지방 행정 관련 다양한 업무가 디지털 기반으로 바뀐다. 주요 업무를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앱)으로 구성, 스마트 현장행정서비스를 구현할 것으로 기대된다.

차세대 지방행정공통시스템은 역대 최대 규모의 공공사업이 될 것으로 보인다. '차세대 지방세입정보시스템'(1600억원), '차세대 지방재정관리시스템'(750억원) 등 지난해와 올해 대표 공공 차세대 사업 규모는 2000억원 미만이었다. 금융권 최대 사업인 차세대 우체국 금융시스템 사업도 2064억원으로 추진됐다.

행안부는 정보시스템마스터플랜(ISMP) 등을 거친 결과 차세대 지방세입정보시스템 사업 예산을 4200억원대로 책정했다. 이보다 앞서 행안부는 지난해 6000억원대로 예타를 신청했지만 한 차례 고배를 들이켰다. 행안부는 ISMP 수행에 이어 최근 BPR 사업자를 선정, 준비에 만전을 기한 만큼 예타에서 좋은 결과를 얻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2년 후 사업 추진을 앞두고 업계의 관심도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시·도 행정정보시스템은 22개 행정 업무를 비롯해 99개 업무 영역, 370개 단위 업무까지 광범위하다. 새올 행정정보시스템도 단위 업무가 725개에 이르는 등 두 시스템의 차세대 사업에는 정보기술(IT) 서비스 기업의 역량이 중요하다. 클라우드, 빅데이터 등 핵심 기술이 기반으로 작용하는 만큼 관련 솔루션 업계 측면에서는 신규 시장이 열리는 셈이다.

업계 관계자는 “올해와 내년의 주요 공공 차세대 사업이 마무리되면 2023년 지방행정공통시스템에 업계의 관심이 집중될 것”이라면서 “주요 사업자들이 한발 앞서 수주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올해 공공 레퍼런스 확보에 주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지선기자 river@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