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에서 유일하게 수소전기차 등록대수가 '0'인 제주도가 보급 촉진을 위한 인프라 확충에 나선다. 수소전기버스뿐 아니라 승용 부문에서도 확대 방안을 모색한다. 대중교통뿐 아니라 렌터카에 대한 수소전기차 도입 촉진 정책도 병행될 전망이다.
4일 제주도에 따르면 도는 '제주형 수소경제 전략 수립 연구용역' 보고서를 토대로 충전소 구축 계획을 포함한 수소전기차 보급 계획을 세우고 있다. 아직 정확한 규모와 보급 범위에 대해선 확정되지 않았다.
보고서는 제주도의 '탄소 없는 섬 2030(CFI 2030)' 계획에 따른 2030년 전기차 보급 목표량 37만7000여대에 최대 5.88%를 수소전기차로 도입하는 방안을 제안했다. 2023년 2980대를 시작으로 2030년까지 누적 2만2169대를 보급하는 방안이다. 수소충전소는 2023년 47개소에서 2030년 395개소로 확대해야 한다. 2030년 연간 수소소비량은 1만6044톤으로 예상했다.
수소전기차 보급을 최소화한 안에서는 민간·공공, 렌터카, 택시, 버스는 제외했으나 수소전기화물차를 포함했다. 2030년까지 누적 2052대를 보급하는 계획으로 수소충전소 11개소가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수소전기차 보급 촉진을 위해선 도내 관용차의 친환경차 전환을 우선 실시하고, 렌터카·택시·버스 사업자들과도 적극 협의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또 주유소 업체들과 상생 방안도 모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2030년 친환경차 보급 목표치를 달성하면 도내 주유소 93%가 폐업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현재 수소전기차 보급과 관련해 확정된 건 제주도가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KETEP) 사업을 통해 도입하는 수소전기버스 9대뿐이다. 아직 도내 수소충전소가 없어 해당 사업을 위해 구축 예정이다.
제주도는 기존에는 수소 생산 시 간접적으로 탄소가 발생한다는 이유로 도내 수소전기차 보급을 추진하지 않았다. 정책에 변화가 생긴 건 지난해다. 신재생 에너지 기반 잉여 전력을 수소 생산에 활용할 수 있다고 판단한 것이다.
제주도 관계자는 “잉여 전력을 활용해 수소를 생산하고 활용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며 “수소전기차, 수소충전소와 관련해선 보고서를 토대로 구체적 계획을 세우고 있으나 아직 확정된 사안은 없다”고 말을 아꼈다.
박진형기자 ji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