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AI) 기술은 우리의 거의 모든 생활에 활용되고 있다. 많은 시스템과 서비스 뒤편에는 빅데이터 분석에 기반한 AI 알고리즘이 숨어 있다. AI 기술 활용을 문명사적 변화에 비유하는 가운데 생활 필수 기술이자 삶을 위한 기초교육 내용이 되고 있다.
교육부에서는 지난해부터 AI 융합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해 다각도로 노력하고 있다. 지난해 2학기부터 개설된 전국 38개 교육대학원의 'AI융합교육전공'은 현직 교사 재교육을 위해 매년 1000명씩 5년간 신입생을 선발해서 5000명의 AI 융합교육의 선도교사를 양성하기 위한 정책이다. 갑자기 전공을 신설한 교육대학원들은 AI 융합교육 전문가를 기르기 위해 새로운 교육 과정을 구성, 새길을 개척하고 있다.
AI융합교육전공 과정은 AI 이론 교과와 AI 활용 교육 관련 교과로 구성된다. AI 이론 교과는 AI 관련 기초 이론, AI 교육이론 등 기초이론 과목으로 구성된다. AI 활용 교육 교과는 국어·영어·수학 등 교과목 내용과 AI 내용의 융합, AI 기반의 다양한 시스템을 활용한 교육방법 융합이 포함됐다. AI융합교육전공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대학 내 다양한 전공 교수들로 구성된 융합교육과정 구성이 가장 중요하다. 전국 38개 교육대학원 전공 주임교수 전공을 살펴보면 컴퓨터공학 전공 18명, 컴퓨터교육 전공 8명, 교육학 전공 8명, 수학교육 전공 2명, 과학교육 전공 2명 등 다양하다. 또 대학 간 공동 활용할 수 있는 교과목과 콘텐츠 개발이 함께 이뤄진다.
AI 활용 측면에서 AI 융합교육 관련 핵심 기술은 교사가 주도적으로 맞춤형 교육을 구현할 수 있도록 AI 기반의 '지능형 튜터링 시스템'(ITS:Intelligent Tutoring System)을 공교육에 적용하는 'AI보조교사 시스템'을 개발, 활용하는 것이다. 현재 여러 기관에서 개발하는 AI 보조교사 시스템에 대한 적극 지원이 필요한 이유다. 교사들은 AI 보조교사 시스템을 활용해 학생 개인별 수준을 진단하고, 개별화한 맞춤형 학습을 지원 및 코칭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교육과정 재구성과 수업 디자인, 교수-학습 운영, 평가와 학습 결과 기록, 학생 개인별 피드백과 학습 동기 부여에 이르기까지 AI 보조교사 시스템을 활용할 수 있다.
AI보조교사 시스템은 미래 교육으로 전환하는 지렛대 역할을 할 수 있다. AI보조교사 시스템은 학생 수준에 맞는 맞춤형 지도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교육 격차 심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교사가 주도해서 모든 학생이 원하는 학습 목표에 도달하는 벤저민 블룸의 완전학습(mastery learning) 이론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AI보조교사 시스템은 교사들에게 불필요한 행정 업무를 줄여 주며, 개인별 맞춤형 학습을 설계 및 운영하는 역할로 전환시켜 줄 수 있다.
AI보조교사 시스템은 미래 교육의 지렛대이기 때문에 학교 교육을 혁신할 수 있는 동력이 될 수는 있지만 그 자체로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수는 없다. 우선 AI보조교사 시스템이 작동할 수 있도록 교육제도 개선이 함께 이뤄져야 한다. 내년에 개정되는 새로운 교육과정은 고교학점제를 비롯해 유연한 교육 운영이 가능하도록 불필요한 내용을 줄이는 방향으로의 혁신이 필요하다. 학교에서 교육적 지원을 어렵게 만드는 상대평가도 개인별 절대평가 방식으로의 획기적 전환이 검토돼야 한다. 교실에서 학생 1인당 1기기를 활용할 수 있는 시설과 장비도 준비돼야 한다. 가장 중요한 부분은 교원의 역할 변화와 역량 개발이다. 현장 교원들이 AI보조교사 시스템을 활용해 개별화 수업을 설계·운영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도록 재교육하는 것이 AI 융합교육의 주요 미션이자 문제 해결의 열쇠가 될 것이다.
올 9월에는 서울대를 비롯해 AI융합교육전공을 개설하는 대학이 40여개로 확대되고, 신입생으로 교사 1000명을 선발하게 된다. 전국 교육대학원에서 새로운 전공을 처음 시작하는 과정의 시행착오를 극복하고 협력적 공유대학 모델을 통해 미래 교육 선도교사를 양성해야 할 것이다.
정제영 이화여대 교육학과 교수·AI융합교육연구지원센터장 jychung@ewha.ac.kr
-
김명희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