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료 효율 향상이라는 1차 목적을 위해 보건의료 정보화 시스템 도입을 넘어 의료 데이터와 시스템의 부가가치 향상에 집중해야 할 시기가 왔다.”
최근 보건복지부가 '2020년 보건의료정보화 실태조사' 결과 발표와 향후 정책 방향 논의를 위해 마련한 토론회에서 병원 관계자들은 단순 병원 정보화에서 나아가 품질 관리와 부가가치 창출로 정책 목표를 달리 가져갈 때라고 입을 모았다.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국내 주요 병원의 전자의무기록(EMR) 도입률은 100%에 가깝다.
상급종합병원의 EMR 도입률은 100%이고 300병상 이상 종합병원은 94.0%, 300병상 미만은 97.5%, 병원급은 90.5%로 높은 수준이다.
불과 몇 년 전만 해도 일부 상급종합병원만 도입한 정보화 시스템이 전국 6000여 병원으로 빠르게 확산한 것은 정부의 정책 드라이브와 병원의 노력 결과이다.
병원 정보화라는 일차 목표 달성에 성공한 후 문제는 이를 어떻게 활용하느냐로 옮아간다. 단순히 정보화 시스템을 도입하고 데이터를 모으는 단계에서 벗어나 성과를 내야 하는 시점이 됐지만 해결해야 할 과제는 적지 않다.
가장 큰 걸림돌은 표준화이다. 병원마다 다른 코드와 임상 용어를 사용하다 보니 연구나 임상에 활용하려 해도 상호운용성 확보가 쉽지 않다. 데이터 표준화가 병원 운영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아니다 보니 필요성을 느끼기 어렵고 예산 확보도 만만치 않은 일이다. 의료 데이터 품질을 체계화해서 관리하고 표준 운영을 담당할 전문 인력도 부족하다.
환자에게 이점이 큰 의료기관 간 진료 연속성을 확보하기 위한 진료정보 교류도 아쉽다. 상급종합병원은 78.6%가 진료정보교류시스템을 도입했지만 300병상 이상 종합병원은 40.3%, 300병상 미만 종합병원은 39.2%, 병원급은 18.7%로 규모에 따라 도입률에서 큰 차이가 난다.
병원 정보화 시스템의 빠른 확산이 가능한 이유는 진료 효율화라는 유인이 확실했기 때문이다. 병원이 확신해서 고도화를 지속 추진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병원 정보화 투자가 실제 병원 경영과 진료 현장에서 어떻게 이익 창출로 이어지는지를 증명해야 한다. 이를 위해 많은 성공 사례를 발굴해야 한다.
정부는 의료기관 진료정보교류사업, 보건의료 데이터 중심병원 지원사업, EMR시스템 인증제, 스마트병원 구축 지원사업, 마이헬스웨이 구축 등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병원의 적극 참여를 끌어내기 위해서는 인증 체계를 질 기반으로 발전시키고, 수가 보상 등 정책적 인센티브도 고려할 만하다.
정현정기자 iam@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