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뜰폰 시장을 통신 3사의 자회사 5곳이 싹쓸이하면서 알뜰폰 사업 도입 취지가 무색해졌다는 지적이 나온다.
26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윈회 양정숙 의원(무소속)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1년 2월 현재 휴대폰 및 IoT/M2M(Internet of Thing/Machine to Machine)회선을 포함한 알뜰폰 가입자는 총 927만명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순수 휴대폰 회선 가입자는 606만명이며, 통신 3사 자회사의 가입자가 270만명으로 44.5%에 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알뜰폰 사업은 2011년 7월 국내 이동통신 시장이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3사를 중심으로 급속히 고착화되면서 요금 및 서비스 경쟁을 촉진하고 가계통신비 절감을 위해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그런데 망을 임대 해주는 통신 3사가 자회사를 통해 알뜰폰 시장에 직접 뛰어들어 시장을 잠식하면서 알뜰폰 사업 취지가 무색케 될 뿐만 아니라 이동통신 가입자 빼앗기 위한 대리전으로 변질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SK텔레콤은 2012년 6월 SK텔링크를 진출시켰다. 뒤이어 KT가 자회사 KTM모바일(2014년), 스카이라이프(2020년) 통해 진입했다. LG유플러스도 미디어로그(2014년), LG헬로비전(2020년 인수합병)이 뛰어들면서 본격적인 시장확보 경쟁이 시작됐다.
2016년 전체 무선회선부문 알뜰폰 가입자수는 684만명이었지만, 올해 2월 기준 606만명으로 11.3% 감소했다. 전체 가입자수는 감소 했지만 통신 3사 자회사의 가입자수는 오히려 259만명에서 270만명으로 4.2% 증가했다. 같은 기간 중소 알뜰폰 사업자의 가입자는 424만명에서 336만명으로 20.8%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매출액도 중소 알뜰폰 사업자는 2016년도 3230억원에서 2019년도 3238억원으로 8억원(0.2%)이 증가하는데 그쳤지만, 같은 기간 통신 3사 자회사는 5096억원에서 6048억원으로 952억원(18.6%)이 증가하면서 증가폭이 두드러졌다.
양 의원은 “통신 자회사들의 자금력을 앞세워 무차별적인 시장 잠식은 결국 중소 알뜰폰 사업자들을 고사 상태로 몰아넣는 것으로 알뜰폰 시장에서 통신 자회사 시장점유율 제한이 시급히 마련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송혜영기자 hybrid@etnews.com
-
송혜영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