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2025년까지 10종 이상 자율주행 서비스를 개발하고 전국 고속도로와 주요 거점에서 제공한다.
국토교통부는 2025년 상용화를 위해 기술개발과 제도·인프라 기반을 마련하기 위한 '제1차 자율주행 교통물류 기본계획(안)' 온라인공청회를 8일 개최한다.
자율주행 교통물류 기본계획은 자율주행 분야에 특화되어 수립되는 최초 법정계획이다. 자율주행자동차법에 근거해 앞으로 5년마다 수립된다. 이번 계획은 한국교통연구원 연구용역을 바탕으로 마련됐다.
계획안은 2025년 자율주행 교통물류서비스 상용화를 목표로 한다. △교통(BRT, 수요응답형, 공유차, 교통약자 전용) △물류(화물차 군집주행, 생활물류 배송) △도시관리(청소, 수거, 순찰, 긴급차량 통행지원) 등 10종 이상의 자율주행서비스를 2025년까지 개발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기술을 고도화하고 실증여건과 서비스 사업환경을 조성하는 데 기본계획 초점을 맞췄다.
정부는 교통서비스로 레벨4 수준의 자율주행 대중교통과 공유서비스를 개발할 계획이다. 경로·배차 최적화 등 운영기술을 고도화한다. 휠체어 이용자 등 교통약자 이동지원 전용 플랫폼과 긴급구난 수요대응 원격 서비스도 개발한다.
고속도로에서는 트럭 군집주행을 시작한다. 라스트마일 소형 택배차량, 모바일 무인 택배함 등 기술 개발, 문전배송을 위한 로봇·드론 등 연계기술을 개발한다.
자율주행 운행 지원과 안전을 위한 도로 모니터링, 긴급 복구, 순찰 등의 사회기반 서비스 기술을 확보한다. V2X자율차 등과 연계한 도로인프라 모니터링 및 긴급복구, 자율주행 취약구간 분석기술을 개발한다. 실시간 교통사고 위험예측 모델 개발 및 자율주행 순찰차량도 내놓는다.
자율주행 특구를 통한 자율주행 핵심 기능 개발 및 도심 운송, 공공 서비스(청소, 쓰레기 수거 등) 상용화를 추진한다. 세종특구를 중심으로 BRT 등 여객서비스 실증을, 광주특구를 통한 노면청소, 쓰레기 수거 등 공공서비스를 실증한다.
이러한 서비스를 위해 인프라를 개선한다. 자율차와 도로의 협력을 위한 도로설계 및 운영 기준을 재정립하고 자율주행 지원 도로체계를 등급화한다. 자율차-일반차 혼재 시 자율주행 지원을 위한 교차로 운영전략 및 운영시스템을 개발한다.
국토교통부는 “이번 공청회에서 제시된 의견을 반영해 기본계획 최종안을 마련하고 국가교통위원회 심의 등의 절차를 거쳐 확정·고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문보경기자 okmun@etnews.com
-
문보경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