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연 “고령운전자 車사고 증가...ADAS 장착 의무화 필요”

한자연 “고령운전자 車사고 증가...ADAS 장착 의무화 필요”

고령운전자 증가와 맞물려 교통사고가 늘고 있으나 현실적으로 이를 예방하기 위한 대책이 부재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첨단운전자보조시스템(ADAS) 장착을 의무화하거나 장착 시 혜택을 주는 제도를 도입하는 등 기술적 조치가 필요하다는 조언이다.

21일 한국자동차연구원(이하 한자연)이 발간한 산업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운전면허 소지자 중 65세 이상의 비율은 증가 추세로 2016년 8.0%에서 2020년 11.1%로 늘어났다.

65세 이상 고령 운전자가 낸 교통사고는 증가 추세다. 지난해 11만4795건으로 전체 교통사고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0.5%에 달한다. 고령운전자가 늘면서 비중은 2016년 8.1% 대비 2.4%포인트 높아졌다. 교통사고 사망자 중 가햊가 고령운전자인 비중도 23.4%로 2016년 17.7% 대비 5.7%포인트 증가했다.

이호중 한자연 책임연구원은 현행 고령운전자 관리 제도의 경우 실효성이 제한적이라고 평가했다. 실질적 사고 예방 기여도가 낮다는 분석이다.

정부는 △75세 이상 운전자가 운전면허를 갱신할 때 인지 능력 진단과 교통안전교육을 의무화 △갱신주기를 5년에서 3년으로 단축 △각 지자체는 운전면허 자진 반납 제도를 운영 중이다.

하지만 갱신주기를 다축해도 1~2년 내 운전 능력이 급격히 저하될 수 있고, 생계를 위해 운전이 불가피하다면 면허 자진 반납 제도도 효과가 제한적일 수 있다.

이 책임연구원은 “주기적 관리보다는 상시적 예방에 초점을 두고 기술적 해결책에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며 “고령운전자 사고 예방을 위해 특정 ADAS 장착 시 보조금을 지급하는 일본 '사포카' 제도를 참고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일본의 경우 65세 이상 운전자가 '보행자 충돌 피해 경감 브레이크', '급발진 억제 장치' 등 ADAS를 장착하면 2만∼10만엔의 보조금을 지급한다.

이 책임연구원은 ADAS 기능 장착을 의무화하거나 보조금 지급을 고민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또 장착 시 보험·세제 혜택을 제공해 참여율을 높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모든 정책은 고령운전자가 아닌 운전약자를 대상으로 추진돼야 한다고도 부연했다.

이 책임연구원은 “특정 연령대에 국한해 제도를 운용하기보다는 교통사고 유발률을 높이는 신체적·정신적 요인을 검토한 후 운전약자 전반에 대해 안전운전을 지원하는 제도를 설계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정부는 지난해 발표한 22개 기관 합동 '고령자 교통안전 종합계획'에서 운전 적합성 평가 결과에 따라 △첨단안전장치(ADAS) 부착 △야간운전 제한 △고속도로 운전 제한 등 운전 가능한 조건을 부여하는 방법을 예시로 언급한 바 있다. 하지만 아직 제도화된 건 없다.

박진형기자 ji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