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백신 허브는 문재인 대통령이 코로나19 위기 해법으로 내놓은 두 가지 주요 국가정책 중 하나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경제위기 극복을 위해 한국판 뉴딜을, 방역위기 극복을 위해선 글로벌 백신 허브 구축을 선택했다.
문 대통령이 우리나라를 글로벌 백신 허브로 만들겠다고 구상한 것은 한미정상회담이 계기였다. 당시 백신 수급 지연이 사회적 쟁점으로 떠오르면서 미국과 백신 스와프 등 여러 방안들이 추진됐다. 이 과정에서 백신 스와프는 현실적 어려움에 좌절됐지만 우리나라를 글로벌 백신 허브로 만들겠다는 구상은 초석을 마련했다.
문 대통령은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의 한미정상회담에서 미국의 선진 기술과 한국의 생산 역량을 결합한 한미 백신 글로벌 포괄적 파트너십 구축에 합의했다. 문 대통령은 “미국 백신 개발 능력과 한국 바이오 의약품 생산 능력을 결합해 백신의 생산을 더 촉진하고, 전 세계에 백신 공급을 더 빠르게 더 많이 이룰 수 있게 하겠다”고 밝혔다.
이어진 한미 백신기업 파트너십 행사에선 한미 양국의 주요 기업을 대상으로 “코로나19 백신 글로벌 수요 증가를 충족할 수 있도록 한국 내 제조시설에서의 백신 생산 능력을 신속히 확대하고, 글로벌 백신 공급의 허브로서 인류에 기여하기 위한 역할을 충실히 해 나갈 것”이라며 당부하기도 했다.
문 대통령은 “세계 최고 백신 생산 허브”를 구축하기 위해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를 비롯한 유럽순방에서도 주요 국가 정상 및 백신생산 기업 CEO를 상대로 적극적인 세일즈 외교를 추진했다.
영국, 프랑스, 독일, 유럽연합(EU) 지도자를 비롯해 영국의 아스트라제네카 글로벌 CEO와 독일의 큐어백 CEO 면담을 통해 우리나라를 전 세계 백신 공급의 전진기지로 삼아달라고 요청하기도 했다.
청와대는 유럽순방 직후 문 대통령의 백신 외교 행보가 성과를 거두고 있다고 자평했다. 박수현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백신의 허브국가가 되겠다는 계획을 뒷받침할 수 있는 통로를 미국만이 아니라 유럽으로도 다변화했다는 의미가 있다”고 강조했다.
안영국기자 ang@etnews.com
-
안영국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