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내 컵홀더가 100달러?'.. 국산화로 2030년까지 항공MRO 5조원으로 키운다

정부, 항공 MRO 산업 경쟁력 강화 방안 발표
국내정비하면 운수권 배정시 감안, 공항사용료 감면 등 인센티브
국내 인증체계 없어 국산화0 ->팔레트, 컵홀더부터 국내인증으로 국산화

'기내 컵홀더가 100달러?'.. 국산화로 2030년까지 항공MRO 5조원으로 키운다

정부가 항공 부품 첫 국내 인증으로 부품 국산화 시대를 열고 다부처 협력 연구개발(R&D)을 통해 항공정비 기술 수준을 높인다. 정부는 이러한 전략을 통해 항공 정비(MRO) 시장 규모를 2020년 7000억원에서 2030년 5조원으로 키우기로 했다. 기술수준도 2030년까지 선진국의 90% 수준으로 끌어올릴 계획이다.

국토교통부는 12일 '제43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회의'에서 관계부처 합동으로 '항공MRO 산업 경쟁력 강화방안'을 의결했다고 밝혔다.

우리나라 MRO는 해외 위탁 정비율이 56%에 달한다. 핵심 기술뿐만 아니라 전문인력, 인증 체계 기반이 미비해 가격경쟁력도 취약하다. 정부는 2025년까지 국내 MRO 정비물량 중 70%를 국내에서 처리하도록 MRO 경쟁력을 키울 계획이다.

운수권 배정 시 국내 MRO산업 기여도를 감안하고, 국내정비를 위해 운항하는 항공기에 대해서는 공항사용료를 감면하는 등 인센티브를 제공한다. 국내 민간업체에서 정비가 가능한 군 정비물량도 점진적으로 민간정비로 전환한다. 해외정비만 가능한 군용기 부품은 국산화한다. 이를 통해 국내 민간정비 물량을 지난해 3조5000억원에서 2022년까지 5조1000억원 이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국산 헬기 공공구매 확대를 통해 헬기 국내 정비물량도 점진적으로 확대한다.

가격경쟁력 강화를 위해 항공부품 관세부담 완화, 부품비용 절감을 추진한다. 올해 말까지 항공화물용 부품(팔레트, 컨테이너), 객실부품(컵홀더)에 대한 국내인증을 완료하고, 승객좌석 등 대상품목도 점진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국내 인증체계가 없어 컵 홀더 하나 가격이 100달러가 넘는 것은 유명한 일화다. 부품제작자증명을 받은 국내 업체로부터 동일한 규격과 품질을 구매하면 28달러면 된다. 국내업체간 기상레이더·통신장비 공동사용을 촉진하기 위해 8월부터 부품 사용자변경 사전승인을 사후신고로 개선해 불필요한 예비품 보유비용 경감을 유도한다.

'기내 컵홀더가 100달러?'.. 국산화로 2030년까지 항공MRO 5조원으로 키운다

항공정비 기술수준 향상을 위해 MRO 핵심기술로드맵에 따른 체계적인 기술개발, R&D 상용화, 국제공동개발사업을 통한 기술획득도 추진한다. 연구개발 성과물의 상용화를 강화하기 위해 부품개발과 인증기술을 연계한 다부처 협업 R&D를 진행한다. 국내 업체가 항공기·엔진 등 해외 정비기술 획득을 위해 국제공동개발 사업에 참여하는 경우 R&D를 우선 지원할 계획이다.

지역 맞춤형 지원을 통한 지역특화 MRO 클러스터 개발, 정비인증체계 강화, 인력양성 등 MRO 성장기반도 강화한다.

정부는 이를 통해 MRO 분야 일자리 수도 2020년 7000명에서 2030년 2만3000명으로 증가할 것으로 기대했다.

노형욱 국토교통부 장관은 “이번 대책을 통해 우선은 해외 정비의존도를 30% 이내로 줄이고, 국내 정비시장 규모를 7배 이상 확대새 세계 7위 항공운송산업 규모에 걸맞는 MRO산업 육성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문보경기자 okmu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