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채널사용사업자(PP)의 수익성을 크게 개선하는 방안이 나왔다. 중소 방송채널협회는 24개 사업자와 함께 41개 채널 대상으로 새로운 광고 모델을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채널 진입 광고'로 불리는 모델은 시청자가 채널을 변경할 때 해당 채널 프로그램이 나오기 전에 6초 동안 광고를 노출하는 방식이다. 협회는 내년 1월 시행을 목표로 정부와의 협의에 들어갔다. 협회는 시청자에게는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사업자에는 재원 확대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했다. 시청권 보호 방안도 마련했다. '오프'(OFF) 기능으로 광고 시청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자기 결정권을 보장한다. 시청자당 광고 횟수를 하루 5~10회, 채널 등 하루 광고 횟수는 3회로 제한한다.
좋은 아이디어다. PP는 유료 방송시장에서 '을' 위치에 있다. 출혈 경쟁과 시장 성장세가 꺾이면서 이중, 삼중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 200개가 넘는 채널 사업자 가운데 일부 대기업 계열 사업자를 제외한 대부분이 경영난에 시달리고 있다. 설상가상으로 가입자 이탈, 인수합병(M&A) 등에 휘말린 케이블사업자(SO)마저 한계 상황에 놓이면서 PP 위상도 예전 같지 않다. SO에서 받는 수수료 이외에는 수익 모델이 없어 돌파구 찾기도 쉽지 않다. 채널 진입 광고는 시청자의 거부감을 줄이면서 수익을 올리는 대안이 될 수 있다. 광고주도 반긴다. 협회 측은 광고주 활용 의사를 확인하고 인터넷(IP)TV와 시범 테스트를 통해 기술성 및 호환성을 검증하고 기술적으로 가능하다는 결론을 내렸다고 설명했다.
관건은 정부의 의지다. 다행히 나쁘지 않다. 법적으로도 큰 문제가 없다. 중소PP는 채널 진입 광고 도입에 앞서 법적 검토를 진행, 방송법 등에 접촉되지 않으며 규제 대상이 아니라는 유권 해석을 얻었다. 정부도 방송시장 활성화와 중소PP 진흥이라는 취지에 공감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유료 방송시장은 지나치게 플랫폼 중심으로 쏠림 현상이 심해 생태계가 활성화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많았다. 채널 진입 광고로 수익 모델을 마련해서 중소PP가 좋은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는 기반을 만들어 줘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