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국내 '뿌리산업' 체질을 개선하기 위한 미래 전략을 마련한다. 4차 산업혁명 시대 개화, 탄소중립 등에 따라 급변하는 글로벌 산업 공급망에 선제 대응하기 위한 기반을 다진다.
6일 소재·부품·장비(소부장) 업계에 따르면 산업통상자원부는 최근 소부장 산업 경쟁력 제고를 위한 차세대 뿌리산업 생태계 강화 전략 연구' 용역을 발주했다. 제조업 경쟁력을 좌우하는 뿌리산업을 미래형 구조로 전환하기 위한 발전 방향과 지원 정책을 담을 예정이다. 연내 초안을 마련하는 게 1차 목표다.
산업부는 우리 뿌리산업의 중장기 생태계 발전 비전과 추진 전략을 마련하는 데 중점을 둔다. 자동차 산업 미래차 전환, 친환경 선박 투자 증가, 수소산업 성장 등 글로벌 산업 지형이 급변하면서 전통 제조업 중심인 우리 뿌리산업에 새로운 비전이 요구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4차산업혁명과 탄소중립, 글로벌 공급망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방안을 수립하는 데 주력한다. 반도체, 이차전지 등 국가 핵심전략산업과 뿌리산업을 연계한 정책 지원 전략도 연구할 계획이다.
산업부는 생태계 발전·고도화 전략 개발에도 나선다.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자국우선주의 등 공급망 재편에 대응해 제조업-소부장-뿌리산업 간 정책을 유기적으로 연계하는 방안을 마련한다.
다양한 애로를 겪고 있는 뿌리업계를 맞춤형으로 지원하기 위한 정책·사업·제도 전반에도 초점을 맞춘다. 청년층 취업 기피 현상을 비롯해 숙련인력 고령화, 중대재해 노출, 환경 유해물질 배출 등이 동시다발로 발생했기 때문이다. 이 같은 업계 상황을 감안해 연구개발(R&D), 인력양성, 설비 구축, 각종 제도 등 정책 지원수단을 마련할 계획이다.
산업부의 이번 전략이 최종 완성되면 오는 12월 시행 예정인 '뿌리산업 진흥과 첨단화에 관한 법률(뿌리산업법)' 개정안과 시너지를 낼 것으로 예상된다.
산업부는 이번 연구에서 기존 6대 핵심뿌리기술(주조·금형·소성가공·용접·표면처리·열처리)을 신규 기술로 변경하는 방안을 검토할 계획이다. 사출·프레스, 정밀가공, 로봇, 센서 등 차세대 공정기술의 편입이 유력하다. 뿌리산업법 개정안은 이 같은 신규 지정을 뒷받침하는 법적 근거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또 산업부가 최근 △미래 선점 기술 확보 △안전 중심 공정 디지털 전환 △우수인재 유입 촉진을 목표로 발표한 '뿌리산업 3대 혁신방안'을 한층 구체화할 것으로 기대된다.
산업부 관계자는 “제조업과 소부장, 뿌리산업을 아우르는 산업 생태계 강화 전략을 수립하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윤희석기자 pioneer@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