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헬스(Bio-Health) 분야는 국민의 삶에 매우 밀접하게 관련돼 있으며, 사회적 영향력이 심대하다. 미국의 경우 경제가 좋았음에도 공화당 정부의 코로나19 팬데믹 대응 실패가 정권 교체의 주원인으로 작용했다. 우리나라는 진단키트 조기 개발에 성공해 방역에 좋은 성과를 거뒀다. 그러나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한 국민의 불편함과 경제적 손실을 막을 수는 없으며, 국내 백신 개발도 시급히 필요한 상황이다.
바이오헬스 분야 국내 대학의 글로벌 경쟁력은 충분하지 않다. QS 세계대학 생활과학/의학(Life Science/Medicine) 분야에서 서울대 32위, 성균관대 100위, 연세대 116위, 고려대 154위를 각각 기록하는 등 한국의 경제 규모와 기업의 수준에 비해 상당히 부족한 상황이다. 우선적으로 해외 대학 및 기업과의 글로벌 협력 연구를 증가시켜 연구의 질을 높일 필요가 있다. 지난 수년간의 실제적인 등록금 동결로 국내 모든 대학의 재원 부족이 심각한 상황이다. 또한 학생등록금과 정부연구비만으로는 세계적인 대학이 될 수 없기 때문에 적극적인 산·학 협력을 통한 재원 조달은 필수적이다.
바이오헬스 분야는 기초연구의 투자 효율이 낮은 편이다. 최근 기초연구투자가 크게 증가했지만 투자 효율은 아직 국민이 납득할 수준이 아니다. 바이오헬스 분야는 기초연구를 마치면 대부분 임상시험으로 진행해야 하기 때문에 기초연구의 임상시험 진입을 크게 장려할 필요가 있다.
수많은 바이오헬스 벤처기업이 연구개발(R&D)을 추진하고 있지만 필요한 인력을 구하기 어렵고, 잦은 이직으로 기술력 축적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이들 기업에 대한 안정성과 신뢰도가 아직 부족하기 때문이다. 상장 이후에 중견기업 및 대기업으로 발전하거나 인수합병(M&A)를 통해 지속 발전할 수 있는 생태계가 필요하다.
바이오헬스 분야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는 선택이 아니라 필수이다. 이에 따라 강점 분야는 그대로 살리면서 취약 분야의 보완이 시급히 필요하다. 바이오헬스 분야에서 해외 대학 및 해외 기업과의 글로벌 협력연구 권장이 필요하다. 현재 수행되는 해외 협력연구들이 일정 규모 이상의 기관과 시험적으로 수행되고 있는 등 진입장벽이 높기 때문에 모든 연구자가 참여할 수 있는 작은 수준의 해외 협력부터 권장할 필요가 있다.
이와 함께 산·학 협력의 적극적 권장으로 대학과 기업 간 인력 선순환 확립이 필요하다. 대학원 교육에 산·학 협력을 적절히 활용, 젊은 인력들의 벤처기업에 대한 안정감과 신뢰도를 증가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산·학 협력을 수행하는 교수에게 국가적 차원의 강력한 인센티브를 부여할 필요가 있으며, 1 대학연구실 1 산·학 협력을 시범적으로 권장할 필요도 있다.
대기업과 벤처기업 간 협력의 장 조성이 필요하다. 한국 특유의 서열문화로 대기업과 벤처기업의 대등한 협력에 어려움이 있다. 이는 제도적으로 강제할 수 없고, 민간에 맡겨야 할 영역이지만 국가가 나서서 협력과 소통의 장을 적극적으로 조성할 필요가 있다. 다만 정부에서 나서면 형식화되고 부작용이 심할 수 있기 때문에 주의가 요구된다.
마지막으로 CRO 기업 육성이 필요하다. 임상시험위탁기관(CRO; Contract Research Organization)는 바이오헬스 분야에만 존재하는 특수화된 기업으로, 의약품/의료기기를 개발하는 기업의 임상시험과 동물실험을 돕는 도우미 역할을 한다. 바이오헬스 분야 기초연구가 임상시험으로 진입하게 하려면 이들 CRO의 도우미 역할이 중요하다. CRO는 동물 대상의 효과와 안전성을 평가하는 비임상 CRO와 인간 대상의 임상시험을 돕는 임상CRO로 구성된다. 시장 규모는 임상CRO가 더 큰 상황이다. 거대 규모의 다국적 CRO가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기 때문에 국내 CRO를 육성하지 않으면 국내 바이오헬스 산업이 해외에 종속될 우려가 있다.
바이오헬스 분야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는 국가적으로 선택이 아니라 필수이며, 대학·기업·정부 모두 힘을 합쳐 노력해야 한다.
윤유식 중앙대 교수/한국과학기술정책연구회 부회장 thanks@cau.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