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반도체기업까지 미래차 사업 확대..."국내업계 경쟁력 강화해야"

자율주행 자동차 기술 고도화 등에 따라 고성능 반도체와 소프트웨어(SW)에 대한 기술 경쟁력을 갖춘 미국 반도체 기업이 미래차 '플래포머(Platformer)'로서 시장 지배력을 강화하고 있다.

이에 해외 시장 의존도가 높은 국내 자동차 기업의 기술 종속이 우려되는 만큼 경쟁력 확보를 위한 개발·협력 생태계를 구축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美 반도체기업까지 미래차 사업 확대..."국내업계 경쟁력 강화해야"

한국자동차연구원이 27일 공개한 산업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전장 아키텍처(구조) 고도화로 현재 차량에 장착된 수십 개의 제어기 수는 감소하고 기능과 성능이 강화된 3∼4개 제어기로 통합되면서 SW와 고성능 반도체 역량의 중요성이 커졌다.

이에 따라 미국의 거대 반도체 기업들은 기존 완성차 기업이나 마이크로컨트롤유닛(MCU) 중심 차량용 반도체 기업보다 높은 기술 우위를 바탕으로 시장 지배력 강화를 모색하고 있다.

엔비디아는 2015년부터 자율주행 플랫폼 '엔비디아 드라이브' 시리즈를 출시 중이며, 영국 반도체 설계 업체 ARM 인수에 나선 상태다.

또 퀄컴은 작년 미국 국제전자제품박람회(CES)에서 자율주행 플랫폼 '스탭드래곤 라이드'를 공개했으며, 자율주행 사업 다각화를 위해 기술기업 비오니어 인수를 추진 중이다.

보고서는 이 같은 기업들이 높은 수준의 기술력과 많은 자본이 필요한 자율주행 SW와 컴퓨팅 플랫폼을 개발하고 이를 패키지화해 자율주행이 필요한 자동차 업체에 턴키(일괄 입찰) 방식으로 공급, 시장 지배력을 강화하고 수익을 극대화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봤다.

반면에 NXP와 인피니온, 르네사스, 텍사스인스트루먼트 등 기존 MCU 중심 차량용 반도체 기업은 인공지능(AI)·5G·보안 등 고성능과 신기술이 요구되는 미래차 시장에서 경쟁력이 상대적으로 낮거나 제한적일 전망이다.

현재 애플과 아마존, 구글 등 빅테크 기업은 맞춤형 칩·플랫폼 개발을 확대하고 있으며 주요 완성차 기업은 독자 개발을 통한 기술 내재화를 준비 중이다.

현대차의 경우 현대오토에버와 현대오트론 등 SW 관계사를 합병해 SW 역량을 결집했고, 현대모비스가 현대오트론 반도체 사업 부문을 인수해 차량용 반도체 분야 개발 역량 확보에 나선 상태다.

현재 국내 업계는 운용체계(OS)와 AI 추론엔진, 병렬컴퓨팅 등 미래차 SW에 대한 기술 역량이 취약해 대부분 해외 솔루션을 적용 중이다.

차량용 반도체 역시 대부분 해외 제품에 의존해 왔으며, 최근 글로벌 반도체 공급난을 계기로 공급망 다변화와 국산화를 위한 국내 생태계가 형성되는 초기 단계다.

보고서는 차량용 가속도센서 등을 해외에 의존하면서 국내 산업경쟁력이 약화된 것처럼 미래차 시스템 SW에 필요한 관련 모듈을 지속해서 수입할 경우 관련 산업을 육성할 기회를 상실할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

조민욱 선임연구원은 “완성차 중심으로 SW 플랫폼을 개방해 개발·협력 생태계를 조기 구축·확대하고 국내 중소·중견기업의 사업 전환, 글로벌 SW 톱티어(일류) 육성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태준기자 gaius@etnews.com